친해져요 전공영어

(통계학) Public Opinion Polls

통계학Public Opinion Polls

Key Points
  • 여론조사는 특정 주제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이나 태도를 조사하여 사회 전체의 경향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Key Words
  • Public Opinion Polls
  • Sampling Error
  • Sampling Bias 
  • Nonresponse Bias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Hey, guess what? I got a call from a polling company yesterday. They asked me about my opinion on the upcoming mayoral election.
Really? That’s interesting. Did you actually answer the whole survey?
Yeah, I did. It only took about five minutes. But it got me thinking—can we really trust the results of public opinion polls?
Good question. Polls can be useful, but they’re definitely not perfect.
Right. I remember the professor mentioning something about sampling errors. Is that like when the group of people surveyed doesn’t fully represent the general population?
Exactly. If the sample isn’t random or if certain groups are underrepresented—like young people or minorities—it can skew the results. That’s called sampling bias.
And I guess not everyone picks up unknown calls or wants to answer political questions. So wouldn’t that also affect the accuracy?
That’s another big issue—nonresponse bias. If the people who don’t respond have different opinions from those who do, the results won’t reflect reality.
Makes sense. What about the wording of the questions? Some of them felt a bit leading to me.
That’s a classic problem. Poorly worded or loaded questions can influence how people respond. The design of the questionnaire matters a lot.
It’s kind of ironic, isn’t it? Polls are supposed to measure public opinion, but if they’re not done carefully, they might actually misrepresent it.
Exactly. That’s why when polls get things wrong—like in some recent elections—it’s often because of a mix of all these factors: poor sampling, nonresponse, biased wording, and sometimes even timing.
Yeah, like if a poll is done too early, opinions could shift by the time the election happens.
Right. Polls are just snapshots in time, not predictions. That’s an important distinction.
Good point. I guess I’ll take poll results with a grain of salt from now on.
있잖아, 어제 여론조사 기관에서 전화가 왔어. 이번 시장 선거에 대한 내 의견을 묻더라고.
진짜? 흥미롭다. 설문 다 끝까지 응답했어?
응, 다 했어. 5분 정도밖에 안 걸렸어. 그런데 그걸 하면서 이런 생각이 들더라. 여론조사 결과를 정말 믿을 수 있을까?
좋은 질문이야. 여론조사는 유용하긴 한데, 완벽하진 않지.
맞아. 교수님이 표본 오차에 대해 언급했던 거 기억나. 그게 조사 대상 집단이 전체 인구를 잘 대표하지 못할 때 생기는 문제지?
정확해. 표본이 무작위가 아니거나 특정 집단, 예를 들어 젊은 층이나 소수 집단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으면 결과가 왜곡될 수 있어. 그걸 표본 편향이라고 해.
그리고 낯선 번호는 잘 안 받거나 정치적인 질문에 대답하기 싫어하는 사람도 많잖아. 그것도 정확도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맞아, 그게 또 다른 큰 문제야. 그걸 무응답 편향이라고 해. 응답하지 않은 사람들의 의견이 응답한 사람들과 다르면 결과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게 돼.
이해돼. 질문 표현은 어때? 어떤 질문들은 좀 유도하는 느낌이 들던데.
아주 전형적인 문제야. 질문이 애매하거나 유도적인 경우, 사람들의 답변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설문지 자체의 설계도 정말 중요하지.
좀 아이러니하지 않아? 여론조사는 대중의 의견을 알아보려는 건데, 제대로 안 하면 오히려 왜곡된 결과를 낼 수도 있다니.
맞아. 최근 몇몇 선거에서 여론조사가 틀린 이유도 다 이런 요소들 때문이야. 부실한 표본, 무응답, 편향된 질문, 그리고 때로는 조사 시점도 문제지.
맞아. 여론조사를 너무 일찍 하면, 선거 당일까지 사람들이 생각을 바꿀 수도 있으니까.
그렇지. 여론조사는 그냥 그 시점의 스냅샷일 뿐이지, 예측은 아니야. 그 차이를 아는 게 중요해.
좋은 지적이야. 이제부터는 여론조사 결과를 그리 맹신하진 않을래.

Words & Expressions

  • guess what : 있잖아, 맞혀봐
  • polling company : 여론조사 기관
  • upcoming : 다가오는
  • mayoral election : 시장 선거
  • survey : 설문
  • public opinion poll : 여론조사
  • political science : 정치학
  • mention : 언급하다
  • sampling error : 표본오차
  • survey : 조사하다
  • general population : 전체 인구
  • random : 무작위의
  • underrepresented : 과소대표된
  • minority : 소수 집단
  • skew the result : 결과를 왜곡하다
  • sampling bias : 표본 편향
  • pick up : 전화를 받다
  • unknown call : 낯선 전화
  • political : 정치적인
  • affect : 정확도
  • nonresponse bias : 무응답 편향
  • reflect : 반영하다
  • wording : 표현
  • leading : 유도하는
  • poorly worded : 표현이 부실한
  • loaded question : 유도성 질문
  • questionnaire : 설문지
  • misrepresent : 잘못 나타내다, 왜곡하다
  • election : 선거
  • poor sampling : 부실한 표본추출
  • snapshot : 단면
  • take with a grain of salt : 감안해서 받아들이다, 가볍게 받아들이다
I remember the professor mentioning something about sampling errors.
  • 'remember + ing' 구문은 ‘과거에 했던 일을 기억하다’ 라는 의미로, 여기에서는 ‘(과거에) 교수님이 말씀하셨던 게 기억나’ 라고 해석할 수 있다.
If the sample isn’t random or if certain groups are underrepresented—like young people or minorities—it can skew the results.
  • If the sample isn’t random 와 if certain groups are underrepresented 모두 조건의 부사절이며 주절은 it can skew the results 이다.
If the people who don’t respond have different opinions from those who do, the results won’t reflect reality.
  • 'those who~' 는 ‘~한 사람들’ 이라는 의미의 표현이다. 또한 do 는 앞에 나온 동사 respond 를 대신하여 사용된 대동사이다.
Polls are supposed to measure public opinion, but if they’re not done carefully, they might actually misrepresent it.
  • 'be supposed to' 는 ‘원래 ~하기로 되어 있다’ 또는 ‘당연히 ~해야 한다’ 라는 의미로, 기대되는 역할이나 본래 목적, 규칙, 의무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예문>
          You're supposed to be in class right now.
          너 지금 수업에 있어야 되는 거잖아. (->규칙이거나 기대되는 상황)
          This app is supposed to help you learn English.
          이 앱은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만들어졌어. (->원래 목적)
That’s why when polls get things wrong—like in some recent elections—it’s often because of a mix of all these factors: poor sampling, nonresponse, biased wording, and sometimes even timing.
  • 'That’s why~' 는 ‘그래서 ~이다’ 라는 의미로 앞 내용의 결과를 설명한다. when polls get things wrong 는 시간의 부사절이며 주절은 it’s often because of~ 이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