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ortion in space-time is so tiny, but LIGO could still pick it up.
- pick up 과 같이 '타동사+부사' 로 이루어진 구동사들은 목적어가 대명사일 경우, 반드시 동사와 부사 사이에 넣어야 한다.
<비교>
LIGO could still
pick it up. (O)
LIGO could still
pick up it. (X)
When a gravitational wave passes through, it slightly stretches and squeezes space, and LIGO picks that up.
- 접속사 when 이 이끄는 문장은 시간의 부사절이다. 'pick up' 과 같이 '타동사+부사' 로 이루어진 구동사들은 picks that up 에서 와 같이 목적어가 대명사일 때 동사와 부사사이에 위치한다.
I can't believe something that small can be measured at all.
- 'I can't believe 주어+동사' 는 '~을 믿을 수 없어, 정말 놀라워' 라는 의미의 표현으로, 감탄이나 놀라움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that 은 정도를 강조하는 형용사로 '그렇게 ~한' 이라는 의미이다.
<예문>
I can't believe she finished the entire project in one night.
그녀가 그 프로젝트를 하룻밤 만에 끝냈다니 믿을 수가 없어.
I can't believe we lost the game by just one point.
우리가 단 한 점 차이로 졌다니 믿기지가 않아.
And the fact that gravitational waves are invisible but still carry all this information-it just feels unreal.
- 'the fact that ~' 에서 that 절은 명사절이며, 앞의 명사와 동격을 이루는 동격의 that절이다. 동격의 that절은 주로 idea, fact, news, belief, hope, promise, claim 과 같은 명사와 자주 사용된다.
Like whether it was two black holes or two neutron stars?
- 명사절 접속사 whether 는 '~인지 아닌지' 라는 의미이다.
Who knows what we'll discover next?
- 'Who knows~?' 는 감탄문 또는 수사적 질문이다. 실제로 누가 아는지를 묻는 것이 아니라 '아무도 모른다' 또는 '누가 알겠어?' 라는 뜻으로, 놀라움이나 기대, 불확실성을 표현한다.
<예문>
Who knows?
누가 알겠어? (→ 아무도 모를걸.)
Who knows what might happen tomorrow?
내일 무슨 일이 일어날지 누가 알겠어? (→ 내일은 알 수 없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