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져요 전공영어

(물리학) Gravitational Waves

물리학Gravitational Waves

Key Points
  • 중력파는 거대한 천체가 움직이거나 충돌할 때 발생하는 시공간의 물결이다.
Key Words
  • Gravitational Waves
  • Black Holes
  • LIGO(Laser Interferometer Gravitational-Wave Observatory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Hey, did you hear what Professor Kim said at the end of class? Two black holes collided, and scientists detected the gravitational waves from it!
Yeah, that blew my mind. I mean, just thinking about how two black holes smashed into each other billions of light-years away—and we felt it here on Earth!
Right? And apparently, the signal only lasted like a fraction of a second. But it was enough to confirm the merger.
That’s what’s crazy. The distortion in space-time is so tiny, but LIGO could still pick it up.
Remind me—LIGO’s that giant detector in the U.S., right?
Yeah, it stands for Laser Interferometer Gravitational-Wave Observatory. It uses lasers and mirrors to measure incredibly tiny changes in distance—like changes smaller than a proton. When a gravitational wave passes through, it slightly stretches and squeezes space, and LIGO picks that up.
That’s incredible. I can’t believe something that small can be measured at all.
Same. It’s like listening to space with the most sensitive microphone ever built.
It kind of is! And the fact that gravitational waves are invisible but still carry all this information—it just feels unreal.
Do you remember how Professor Kim said we can tell what kind of objects caused the waves? Like whether it was two black holes or two neutron stars?
Yeah, from the shape of the wave signal, right? The frequency and the way it fades out.
Exactly. The waveform acts like a fingerprint. I think that’s what fascinates me the most—it’s like listening to the final moment of something we can never actually see.
Honestly, after today’s lecture, I kind of want to look more into gravitational wave astronomy. It’s a whole new way of exploring the universe.
Same here. Who knows what we’ll discover next? Like a black hole merging with a neutron star or something even weirder.
Now that would be cool.
오늘 수업 끝날 때 김 교수님이 하신 말씀 들었어? 블랙홀 두 개가 충돌했고, 과학자들이 거기서 나온 중력파를 탐지했대!
응, 진짜 충격적이었어. 수십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블랙홀 둘이 부딪혔다는 것도 놀라운데, 그 여파를 우리가 지구에서 감지했다는 게 믿기지 않아!
그렇지? 그리고 신호가 진짜 잠깐, 거의 일초도 안되게 지속됐다고 하더라. 그런데도 그 충돌을 확인할 수 있었대.
그게 정말 말도 안 되지. 시공간의 왜곡이 그렇게 미세했는데도 LIGO가 그걸 잡아냈다는 게 말이야.
LIGO가 미국에 있는 거대한 탐지기 맞지?
응, Laser Interferometer Gravitational-Wave Observatory의 약자야. 레이저랑 거울을 이용해서 엄청나게 미세한 거리 변화를 측정하는데, 양성자보다도 작은 정도의 변화래. 중력파가 지나가면 공간이 살짝 늘어났다가 줄어드는데, LIGO는 그걸 감지할 수 있어.
진짜 놀랍다. 그렇게 작은 걸 측정할 수 있다니 상상이 안 돼.
나도 그래. 거의 우주를 듣는 가장 민감한 마이크 같달까.
진짜 그렇지! 게다가 중력파는 눈에 보이지도 않는데도 그렇게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는 게 현실 같지가 않아.
김 교수님 말씀 기억나? 중력파 신호만 보고 블랙홀인지 중성자별인지, 어떤 천체들이 충돌했는지 알 수 있다고 하셨잖아.
응, 신호의 모양을 보면 된다고 했지? 주파수나 점점 사라지는 방식 같은 거 말이야.
맞아. 그 파형이 마치 지문처럼 고유하대. 난 그게 제일 흥미로웠어. 우리가 실제로 볼 수는 없는 무언가의 마지막 순간을 듣는 거잖아.
솔직히 오늘 강의 듣고 나서 중력파 천문학 좀 더 알아보고 싶어졌어. 우주를 탐사하는 완전히 새로운 방식이잖아.
나도 마찬가지야. 다음엔 또 뭘 발견하게 될지 누가 알아? 예를 들면 블랙홀하고 중성자별이 충돌한다든지, 아니면 그보다 더 이상한 거?
진짜 그럼 완전 멋질 것 같아.

Words & Expressions

  • black hole: 블랙홀
  • collide: 충돌하다
  • detect: 감지하다
  • gravitational wave: 중력파
  • blew my mind: (속어) 엄청 놀라게 하다
  • smash into: ~와 세게 충돌하다
  • billion: 10억
  • light-year: 광년
  • apparently: 듣자 하니, 보아하니
  • signal: 신호
  • fraction: 부분,분수
  • confirm: 확인하다
  • merger: (천체의) 합병, 충돌
  • distortion: 왜곡
  • space-time: 시공간
  • pick (it) up: (신호 등을) 포착하다
  • detector: 탐지기
  • stand for: ~을 의미하다 (약어 등에서)
  • Laser Interferometer Gravitational-Wave Observatory (LIGO):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
  • laser: 레이저
  • mirror: 거울
  • measure: 측정하다
     
  • incredibly: 믿을 수 없을 정도로
     
  • distance: 거리
  • proton: 양성자
  • pass through: 지나가다
  • stretch: 늘이다
  • squeeze: 줄이다
  • sensitive: 민감한
  • invisible: 보이지 않는
  • object: 천체
  • neutron star: 중성자별
  • wave signal: 파동 신호
  • frequency: 주파수
     
  • fade out: 점점 사라지다
     
  • waveform: 파형
  • fingerprint: 지문
  • gravitational wave astronomy: 중력파 천문학
  • merge: 합쳐지다, 합병되다
The distortion in space-time is so tiny, but LIGO could still pick it up.
  • pick up 과 같이 '타동사+부사' 로 이루어진 구동사들은 목적어가 대명사일 경우, 반드시 동사와 부사 사이에 넣어야 한다.

           <비교>
           LIGO could still pick it up. (O)
           LIGO could still pick up it. (X)
When a gravitational wave passes through, it slightly stretches and squeezes space, and LIGO picks that up.
  • 접속사 when 이 이끄는 문장은 시간의 부사절이다. 'pick up' 과 같이 '타동사+부사' 로 이루어진 구동사들은 picks that up 에서 와 같이 목적어가 대명사일 때 동사와 부사사이에 위치한다.
I can't believe something that small can be measured at all.
  • 'I can't believe 주어+동사' 는 '~을 믿을 수 없어, 정말 놀라워' 라는 의미의 표현으로, 감탄이나 놀라움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that 은 정도를 강조하는 형용사로 '그렇게 ~한' 이라는 의미이다.
 
           <예문>
          I can't believe she finished the entire project in one night.
          그녀가 그 프로젝트를 하룻밤 만에 끝냈다니 믿을 수가 없어.
          I can't believe we lost the game by just one point.
          우리가 단 한 점 차이로 졌다니 믿기지가 않아.
And the fact that gravitational waves are invisible but still carry all this information-it just feels unreal.
  • 'the fact that ~' 에서 that 절은 명사절이며, 앞의 명사와 동격을 이루는 동격의 that절이다. 동격의 that절은 주로 idea, fact, news, belief, hope, promise, claim 과 같은 명사와 자주 사용된다.
Like whether it was two black holes or two neutron stars?
  • 명사절 접속사 whether 는 '~인지 아닌지' 라는 의미이다.
Who knows what we'll discover next?
  • 'Who knows~?' 는 감탄문 또는 수사적 질문이다. 실제로 누가 아는지를 묻는 것이 아니라 '아무도 모른다' 또는 '누가 알겠어?' 라는 뜻으로, 놀라움이나 기대, 불확실성을 표현한다.

            <예문>
           Who knows?
           누가 알겠어? (→ 아무도 모를걸.)
           Who knows what might happen tomorrow?
           내일 무슨 일이 일어날지 누가 알겠어? (→ 내일은 알 수 없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