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easy to forget that our freedom of speech, freedom of religion, even our right to privacy—they’re all rooted in constitutional protections.
- 'It is easy to~' 는 ‘~하기 쉽다’ 라는 뜻으로, 여기서 it 은 가주어 이며 to부정사가 진주어이다.
That’s what makes a constitution more than just a legal document.
- 'That’s what~' 은 ‘그것이 ~한 이유이다, 그게 바로 ~한 것이다’ 라는 의미의 표현이다. 이 문장에서 That 이 가리키는 것은 앞 문장 전체, 즉 권리를 실제로 보호하고 실현하는 것의 중요성이다.
<예문>
You always support your friends.
That's what I admire about you.
넌 항상 친구들을 도와주지. 그게 바로 내가 너를 존경하는 이유야.
She practiced every day.
That's what led to her success.
그녀는 매일 연습했어. 그게 바로 그녀가 성공하게 된 이유야.
Speaking of that, I’ve been reading up on the U.S. Constitution recently.
- 'speaking of ~' 는 ‘~에 대해 말하자면, ~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라는 의미의 표현으로, 방금 나온 주제나 단어를 받아서 그것과 관련된 새로운 내용을 이야기할 때 사용한다.
<예문>
Speaking of movies, did you watch the new Marvel film?
영화 얘기 나와서 말인데, 새 마블 영화 봤어?
Speaking of travel, I'm planning a trip to Spain next month.
여행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나 다음 달에 일본 갈 계획이야.
What I find most fascinating is the concept of judicial review.
- 문장의 주어는 명사절인 what I find most fascinating 이며 동사는 is 이다. 명사절 안에서 동사 find 는 의 형태로 사용되며, 이때 ‘발견하다’ 라는 의미가 아닌 ‘~라고 생각하다, 여기다’ 라는 의미이다. 또한 의문사 what 이 find의 목적어 역할을 대신 하므로 주어진 문장에서는 목적어가 없으며, ‘내가 가장 흥미롭게 여기는 것은’ 이라고 해석한다.
The idea that courts can strike down laws if they’re unconstitutional—that’s a powerful check on government.
- 'the idea that~ ' 에서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the idea를 설명하는 동격의 that절이다.
Still, the fact that it can be amended gives people hope that real change is possible.
- 'the fact that~' 과 에서 사용된 that 절은 모두 명사절이며, 앞의 명사와 동격을 이루는 동격의 that절이다. 동격의 that절은 주로 idea, fact, news, belief, hope, promise, claim 과 같은 명사와 자주 사용된다.
Studying this really makes me feel like understanding the Constitution isn’t just for law students.
- 문장 전체의 주어는 동명사인 Studying this 이다. 동사 make는 'make+목적어+동사원형' 의 형태로 사용되어 ‘목적어가 ~하게 하다’ 라는 의미이다. feel like 에서 like 는 전치사이지만, 구어체에서는 뒤에 문장이 오기도 한다.
<예문>
I feel like she doesn't trust me.
그녀가 나를 믿지 않는다는 느낌이야.
-> 'like+주어+동사' 는 회화에서 흔히 쓰이며, as if 나 that 을 쓰는 것이 더 격식있는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