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져요 전공영어

(법) Understanding the Constitution

Understanding the Constitution

Key Points
  • 헌법은 국가의 기본 원칙과 국민의 권리, 정부의 조직과 권한을 규정한 최고의 법이다.
Key Words
  • The Constitution
  • The U.S. Constitution
  • Separation of Powers
  • Bill of Rights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Hey Mina, have you noticed how many recent issues are making people think more about freedom and rights?
Definitely. After that seminar last week, I started paying more attention to how the Constitution actually shapes our everyday lives.
Same. It’s easy to forget that our freedom of speech, freedom of religion, even our right to privacy—they’re all rooted in constitutional protections.
Exactly. And it’s not just about what rights we have—it’s about how we protect them when they’re threatened. That’s what makes a constitution more than just a legal document.
Speaking of that, I’ve been reading up on the U.S. Constitution recently. You know, our own Constitution was heavily influenced by it. It’s incredible how such an old document still plays such a central role in American society.
I know, right? It was written in 1787, just after the American Revolution. The country had just broken away from British rule, and they were trying to build a new government from scratch.
They were afraid of another king, so they wanted to prevent tyranny by dividing power. That’s why they came up with the idea of separation of powers—three branches of government: legislative, executive, and judicial.
And to protect individual rights, they added the Bill of Rights a few years later—ten amendments that guaranteed things like freedom of speech, religion, and the right to a fair trial.
What I find most fascinating is the concept of judicial review. The idea that courts can strike down laws if they’re unconstitutional—that’s a powerful check on government.
Totally. It shows that the Constitution isn’t just a set of ideals—it’s enforceable. People can actually challenge laws in court and demand that their rights be respected.
And the fact that the Constitution can be amended? That gives it flexibility. It’s not frozen in the 18th century—it can evolve with society.
Yeah, in theory it can evolve—but in reality, it hasn’t changed that often. Still, the fact that it can be amended gives people hope that real change is possible.
Exactly. And I guess that’s what makes a constitution so powerful—it reflects the values of a society but also gives it room to grow.
Agreed. Studying this really makes me feel like understanding the Constitution isn’t just for law students. It’s something everyone should care about.
Absolutely. It affects all of us, whether we realize it or not.
미나야, 요즘 여러 가지 이슈들 때문에 사람들이 자유와 권리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게 되는 것 같지 않아?
정말 그래. 지난주 세미나 이후로 헌법이 실제로 우리 일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주의 깊게 보게 됐어.
나도 마찬가지야. 표현의 자유, 종교의 자유, 사생활을 보호받을 권리까지, 이 모든 게 헌법의 보호 아래 있다는 걸 자주 잊는 것 같아.
맞아. 우리가 어떤 권리를 가지고 있느냐도 중요하지만, 그런 권리가 위협받을 때 어떻게 지켜낼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 그래서 헌법은 단순한 법률 문서 이상의 의미가 있는 거야.
그러고 보니, 나 요즘 미국 헌법에 대해 좀 읽어봤거든. 알다시피, 우리나라 헌법도 미국 헌법의 영향을 많이 받았잖아. 그런데 그렇게 오래된 문서가 아직도 미국 사회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게 정말 놀라워.
완전 공감해. 1787년에 작성된 건데, 미국 독립혁명 직후였잖아. 당시 미국은 영국의 지배에서 막 벗어난 상태였고, 새로운 정부를 처음부터 만들려고 했던 시기였지.
그들은 또 다른 왕이 생기는 걸 두려워했기 때문에, 권력 남용을 막기 위해 권력을 분산시키려 했어. 그래서 입법, 행정, 사법, 이렇게 세 가지로 권력을 나누는 권력 분립 개념을 만들었던 거야.
그리고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몇 년 뒤에 표현의 자유, 종교의 자유,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같은 걸 보장하는 열 가지 수정조항인 권리장전을 추가했지.
내가 제일 흥미롭게 느낀 건 사법심사라는 개념이야. 법원이 어떤 법이 위헌이라고 판단하면 무효로 만들 수 있다는 게, 정말 강력한 견제 수단이더라.
맞아. 그건 헌법이 단지 이상만 담은 게 아니라 실제로 효력이 있다는 걸 보여줘. 사람들이 법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고,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는 게 중요하지.
그리고 헌법이 수정될 수 있다는 사실은 또 어떤데? 그게 헌법에 유연성을 부여해줘. 18세기에서 멈춰 있는 게 아니라, 사회 변화에 맞춰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말이야.
맞아, 이론적으로는 발전할 수 있지.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렇게 자주 바뀌진 않았어. 그래도 수정이 가능하다는 사실만으로도 많은 사람들에게 진짜 변화에 대한 희망을 주는 것 같아.
정확히 그거야. 그래서 헌법이 강력한 거지. 사회가 가진 가치를 반영하면서도 변화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두니까 말이야.
동의해. 이런 걸 공부하다 보면 헌법은 단지 법학 전공자들만 알아야 하는 게 아니라,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
맞아. 헌법은 우리가 자각하든 못 하든, 모두의 삶에 영향을 줘.

Words & Expressions

  • right : 권리
  • pay attention to : ~에 주의를 기울이다
  • shape : 형성하다, 영향을 주다
  • freedom of speech : 언론의 자유
  • freedom of religion : 종교의 자유
  • privacy : 사생활, 개인 정보 보호
  • constitutional : 헌법의
  • protection : 보호
  • threatened : 위협받는
  • legal document : 법적 문서
  • read up on : ~에 대해 공부하다, 조사하다
  • the U.S. Constitution : 미국 헌법
  • play a role : 역할을 하다
  • American Revolution :미국 독립 혁명
  • British rule : 영국의 지배
  • government : 정부
  • prevent :막다, 예방하다
  • tyranny :폭정
  • divide power : 권력을 분산시키다
  • seperation of powers : 삼권분립
  • branch of government : 정부의 부서(입법, 행정, 사법)
  • legislative : 입법부의
  • executive : 행정부의
  • judicial :사법부의
  • protect : 보호하다
  • Bill of Rights : 권리장전 (미국 수정헌법 1~10조)
  • amendment : 수정 조항, 개정
  • fair trial : 공정한 재판
  • fascinating : 흥미로운
  • judicial review : 사법심사
  • strike down : (법 등을) 무효화하다
  • unconstitutional : 위헌의
  • check : 견제
  • enforceable : 집행 가능한, 강제할 수 있는
  • challenge : 이의를 제기하다, 문제 삼다
  • amend : 수정하다
  • evolve : 발전하다
  • in theory : 이론적으로는
  • in reality : 실제로는
  • reflect :반영하다
  • value : 가치
It’s easy to forget that our freedom of speech, freedom of religion, even our right to privacy—they’re all rooted in constitutional protections.
  • 'It is easy to~' 는 ‘~하기 쉽다’ 라는 뜻으로, 여기서 it 은 가주어 이며 to부정사가 진주어이다.
That’s what makes a constitution more than just a legal document.
  • 'That’s what~' 은 ‘그것이 ~한 이유이다, 그게 바로 ~한 것이다’ 라는 의미의 표현이다. 이 문장에서 That 이 가리키는 것은 앞 문장 전체, 즉 권리를 실제로 보호하고 실현하는 것의 중요성이다.
 
         <예문>
         You always support your friends. That's what I admire about you.
         넌 항상 친구들을 도와주지. 그게 바로 내가 너를 존경하는 이유야.
         She practiced every day. That's what led to her success.
         그녀는 매일 연습했어. 그게 바로 그녀가 성공하게 된 이유야.
Speaking of that, I’ve been reading up on the U.S. Constitution recently.
  • 'speaking of ~' 는 ‘~에 대해 말하자면, ~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라는 의미의 표현으로, 방금 나온 주제나 단어를 받아서 그것과 관련된 새로운 내용을 이야기할 때 사용한다.

         <예문>
         Speaking of movies, did you watch the new Marvel film?
         영화 얘기 나와서 말인데, 새 마블 영화 봤어?
         Speaking of travel, I'm planning a trip to Spain next month.
         여행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나 다음 달에 일본 갈 계획이야.
What I find most fascinating is the concept of judicial review.
  • 문장의 주어는 명사절인 what I find most fascinating 이며 동사는 is 이다. 명사절 안에서 동사 find 는 의 형태로 사용되며, 이때 ‘발견하다’ 라는 의미가 아닌 ‘~라고 생각하다, 여기다’ 라는 의미이다. 또한 의문사 what 이 find의 목적어 역할을 대신 하므로 주어진 문장에서는 목적어가 없으며, ‘내가 가장 흥미롭게 여기는 것은’ 이라고 해석한다.
The idea that courts can strike down laws if they’re unconstitutional—that’s a powerful check on government.
  • 'the idea that~ ' 에서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the idea를 설명하는 동격의 that절이다.
Still, the fact that it can be amended gives people hope that real change is possible.
  • 'the fact that~' 과 에서 사용된 that 절은 모두 명사절이며, 앞의 명사와 동격을 이루는 동격의 that절이다. 동격의 that절은 주로 idea, fact, news, belief, hope, promise, claim 과 같은 명사와 자주 사용된다.
Studying this really makes me feel like understanding the Constitution isn’t just for law students.
  • 문장 전체의 주어는 동명사인 Studying this 이다. 동사 make는 'make+목적어+동사원형' 의 형태로 사용되어 ‘목적어가 ~하게 하다’ 라는 의미이다. feel like 에서 like 는 전치사이지만, 구어체에서는 뒤에 문장이 오기도 한다.

         <예문>
         I feel like she doesn't trust me.
        그녀가 나를 믿지 않는다는 느낌이야.
        -> 'like+주어+동사' 는 회화에서 흔히 쓰이며, as if 나 that 을 쓰는 것이 더 격식있는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