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y Taemin, did you have a chance to think about our topic for the group project?
- 'do you have a chance to~?' 는 '~할 시간 있었어?' 혹은 '~해봤어?' 라는 의미로, 어떤 일을 할 기회나 시간이 있는지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묻는 질문이다.
<비교>
Did you read the article? 그 기사 읽었어?
-> 단순한 사실 확인, 친구나 동료사이에 흔히 사용하지만 배려하는 뉘앙스는 덜함
Did you have a chance to read the article? 그 기사 읽을 기회가 있었어?
-> 상대방의 일정이나 상황을 배려하면서 부드럽게 묻는 말, 바빴을 수도 있음을 암시
That’s true, but it’s also used to discover microorganisms that can help break down plant materials more efficiently—like for converting biomass into fuel.
- 관계절 that 이하는 선행사 microorganisms를 수식한다. 일반적으로 help 뒤에는 동사원형이 오며, to부정사가 오는 것도 가능하다.
So if we’re doing a project on sustainable bioenergy, focusing on bioprospecting could be a unique angle.
- if we’re doing a project on sustainable bioenergy 은 조건의 부사절이다. 주절의 조동사 could 는 가능성을 나타내거나 부드럽게 제안할 때 사용된다.
And finding the best species for that involves bioprospecting.
- 문장의 주어는 동명사 finding the best species(최적의 종을 찾는 것) 이며 동사는 involves 이다. that 이 가리키는 것은 앞 문장 전체(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이다.
We should also touch on the ethical side—like how countries sharing their natural resources should get benefits too.
- how가 이끄는 절 안에서 주어는 countries, 동사는 should get 이다. 분사인 sharing 은 앞의 명사 countries 를 뒤에서 수식한다.
Thursday works.
- work는 ‘적합하다, 괜찮다, 일정상 맞다’ 라는 의미로 쓰이는 비격식체 표현이다. for me 와 함께 사용하여 Thursday works for me. 와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예문>
A : Does Friday afternoon
work for you?
금요일 오후 괜찮아?
B : Yeah, that
works perfectly.
응, 완전 괜찮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