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져요 전공영어

(신재생에너지) Bioprospecting

신재생에너지Bioprospecting

Key Points
  • 바이오프로스펙팅은 자연에서 유용한 생물이나 물질을 찾아 의약품, 연료, 산업 소재 등으로 활용하는 과정을 말한다.
Key Words
  • Biofuel
  • Bioprospecting
  • Sustainable Energy
  • Bioenergy
  • Biodiesel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Hey Taemin, did you have a chance to think about our topic for the group project?
Yeah, I was looking into sustainable energy options, and I came across something interesting—how bioprospecting is used in developing biofuels.
Oh, really? I thought bioprospecting was mostly about finding new medicine from plants or microbes.
That’s true, but it’s also used to discover microorganisms that can help break down plant materials more efficiently—like for converting biomass into fuel.
Ah, that makes sense. So if we’re doing a project on sustainable bioenergy, focusing on bioprospecting could be a unique angle.
Exactly. Instead of just talking about biofuels in general, we can explore how scientists find useful organisms—like algae or special bacteria—to improve fuel production.
Right. For example, some microalgae produce a lot of oil, which can be used for biodiesel. And finding the best species for that involves bioprospecting.
And don’t forget about enzymes. Some bacteria from extreme environments produce enzymes that work well at high temperatures—perfect for industrial biofuel processes.
Nice. So how about this structure for our presentation? First, we introduce bioprospecting, then show how it connects to biofuel development, and finally mention some real-world examples.
Sounds good. We should also touch on the ethical side—like how countries sharing their natural resources should get benefits too.
Definitely. That’s part of the Access and Benefit Sharing agreement. I can cover that section.
Awesome. I’ll gather a few case studies—like algae-based biodiesel and microbes from hot springs.
Great. Let’s meet again on Thursday to put our slides together?
Thursday works. I’ll bring my notes, and we can finalize the outline.
Perfect. I think the professor will appreciate that we went beyond just the basics.
태민아, 우리 조별 과제 주제에 대해 생각해봤어?
응, 지속 가능한 에너지 쪽을 좀 찾아봤는데, 흥미로운 걸 하나 발견했어. 바이오연료 개발에 바이오프로스펙팅이 활용된다는 거야.
정말? 난 바이오프로스펙팅이 식물이나 미생물에서 신약을 찾는 데 주로 쓰이는 줄 알았는데.
그것도 맞긴 해. 하지만 식물성 물질을 더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발견하는 데도 쓰여. 그러니까 바이오매스를 연료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되는 거지.
아, 그렇구나. 그럼 우리가 지속 가능한 바이오에너지를 주제로 과제를 한다면, 바이오프로스펙팅에 초점을 맞추는 게 독특한 접근이 될 수 있겠다.
맞아. 바이오연료에 대해 그냥 일반적으로 말하는 것보다, 과학자들이 연료 생산을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면 조류나 특수 박테리아 같은 유용한 생물을 어떻게 찾는지를 다루면 더 흥미로울 것 같아.
그러네. 예를 들어, 어떤 미세조류는 기름을 많이 만들어서 바이오디젤로 활용할 수 있잖아. 그런 최적의 종을 찾는 과정이 바로 바이오프로스펙팅이네.
그리고 효소도 잊으면 안 돼. 어떤 박테리아는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서, 고온에서도 잘 작동하는 효소를 만들어내. 산업용 바이오연료 생산에 딱이지.
좋아. 그럼 발표 구조는 이렇게 하면 어때? 먼저 바이오프로스펙팅이 뭔지 소개하고, 그 다음에 그게 바이오연료 개발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실제 사례들을 보여주는 거야.
좋아. 윤리적인 부분도 언급하자. 자연 자원을 제공한 나라들이 그에 따른 이익을 공유받아야 하잖아.
맞아. 그게 바로 ‘접근 및 이익 공유’ 협약에 들어가는 내용이지. 그 부분은 내가 맡을게.
좋아. 나는 조류 기반 바이오디젤이나 온천 미생물 관련 사례를 몇 개 찾아볼게.
좋아. 목요일에 다시 만나서 슬라이드 정리하자.
목요일 괜찮아. 자료도 챙겨올게. 그때 발표 구조도 최종 정리하자.
완벽해. 교수님도 우리가 기본적인 내용 이상으로 확장해서 준비한 걸 좋게 보실 거야.

Words & Expressions

  • sustainable energy : 지속 가능한 에너지
  • come across : 우연히 발견하다, 접하다
  • bioprospecting : 생물자원 탐사, 바이오프로스펙팅
  • biofuel :바이오연료
  • medicine :약, 의약품
  • microbe : 미생물
  • microorganism : 미생물
  • break down :분해하다
  • plant material :식물성 물질
  • efficiently :효율적으로
  • convert A into B :A를 B로 전환하다
  • biomass :바이오매스, 생물질
  • fuel : 연료
  • make sense : 말이 되다, 이해되다
  • focus on : ~에 집중하다
  • angle : 접근(방식)
  • in general :일반적으로
  • explore :탐구하다
  • organism : 생물
  • algae : 조류(藻類), 해조류
  • bacteria : 박테리아
  • microalgae : 미세조류
  • biodiesel : 바이오디젤
  • species : 종(생물 분류 단위)
  • enzyme : 효소
  • extreme : 극한의
  • industrial :산업의
  • process : 과정, 공정
  • structure : 구조, 구성
  • real-world example : 실제 사례
  • ethical : 윤리적인
  • natural resources : 천연 자원, 생물 자원
Hey Taemin, did you have a chance to think about our topic for the group project?
  • 'do you have a chance to~?' 는 '~할 시간 있었어?' 혹은 '~해봤어?' 라는 의미로, 어떤 일을 할 기회나 시간이 있는지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묻는 질문이다.

          <비교>
          Did you read the article? 그 기사 읽었어?
          -> 단순한 사실 확인, 친구나 동료사이에 흔히 사용하지만 배려하는 뉘앙스는 덜함
          Did you have a chance to read the article? 그 기사 읽을 기회가 있었어?
          -> 상대방의 일정이나 상황을 배려하면서 부드럽게 묻는 말, 바빴을 수도 있음을 암시
That’s true, but it’s also used to discover microorganisms that can help break down plant materials more efficiently—like for converting biomass into fuel.
  • 관계절 that 이하는 선행사 microorganisms를 수식한다. 일반적으로 help 뒤에는 동사원형이 오며, to부정사가 오는 것도 가능하다.
So if we’re doing a project on sustainable bioenergy, focusing on bioprospecting could be a unique angle.
  • if we’re doing a project on sustainable bioenergy 은 조건의 부사절이다. 주절의 조동사 could 는 가능성을 나타내거나 부드럽게 제안할 때 사용된다.
And finding the best species for that involves bioprospecting.
  • 문장의 주어는 동명사 finding the best species(최적의 종을 찾는 것) 이며 동사는 involves 이다. that 이 가리키는 것은 앞 문장 전체(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이다.
We should also touch on the ethical side—like how countries sharing their natural resources should get benefits too.
  • how가 이끄는 절 안에서 주어는 countries, 동사는 should get 이다. 분사인 sharing 은 앞의 명사 countries 를 뒤에서 수식한다.
Thursday works.
  • work는 ‘적합하다, 괜찮다, 일정상 맞다’ 라는 의미로 쓰이는 비격식체 표현이다. for me 와 함께 사용하여 Thursday works for me. 와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예문>
        A : Does Friday afternoon work for you?
        금요일 오후 괜찮아?
        B : Yeah, that works perfectly.
        응, 완전 괜찮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