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was reading an article in The Chonnam Herald this morning about income inequality, and it mentioned something called the Gini coefficient.
- 분사인 called 는 앞의 명사 something 을 수식하며, ‘지니 계수라고 불리는 어떤 것’ 이라고 해석한다.
It’s a common measure we use in economics to quantify income inequality within a country.
- we use 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또는 which 가 생략된 관계절이며, 선행사 a common measure 를 수식한다. 주어진 문장은 It’s a common measure that we use~ 와 같이 바꾸어 쓸 수 있다.
So the closer the number is to 1, the more unequal the society is?
- 주어진 문장은 'the+비교급~, the+비교급~' 구문으로 ‘~하면 할수록 더 …하다’ 라는 의미이다.
Still, the trend is what matters.
- 명사절 what matters 는 be동사의 보어 역할을 하며, ‘중요한 것’ 이라고 해석한다.
Though wealth tends to be more unequal than income, the Gini coefficient for wealth is usually higher.
- 양보의 부사절 접속사 though 는 ‘비록 ~이지만’ 이라는 의미로, 두 가지 내용을 대조하거나 양보의 의미(결과가 예상과 다름)로 이어줄 때 사용한다.
I should’ve asked you sooner!
- 'should have p.p' 는 ‘~했어야 했다’ 라는 의미로, 과거에 했으면 좋았을 일을 아쉬워하거나 후회할 때 사용한다.
<예문>
You
should have studied more.
너 좀 더 공부했어야 했어. -> 그러나 과거에 그렇게 하지 않았음을 의미
I
shouldn't have said that.
그런 말을 안 했어야 했는데 -> 과거 일에 대한 후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