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져요 전공영어

(경제) Gini Coefficient

경제Gini Coefficient

Key Points
  • 지니 계수는 소득이나 자산 분포의 불평등 정도를 0에서 1 사이의 수치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Key Words
  • Gini Index
  • Gini Coefficient
  • Income Inequality
  • Wealth Distribution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Hey Jimin, You’re majoring in economics, right?
Yeah, that’s right. Why?
I was reading an article in The Chonnam Herald this morning about income inequality, and it mentioned something called the Gini coefficient. I kind of get that it’s related to inequality, but I’m not sure how it actually works.
Ah, the Gini coefficient. It’s a common measure we use in economics to quantify income inequality within a country.
Okay… so is it like a percentage?
Not exactly. It’s a number between 0 and 1. A Gini coefficient of 0 means perfect equality—everyone has exactly the same income. A coefficient of 1 means total inequality—one person has all the income, and everyone else has none.
Oh, I see. So the closer the number is to 1, the more unequal the society is?
Exactly. Most countries fall somewhere in between. For example, Scandinavian countries like Sweden usually have low Gini coefficients, around 0.25 or so, because they have strong welfare systems. On the other hand, countries with less income redistribution tend to have higher Gini scores.
Interesting. The article said Korea's is around 0.33. Is that high?
It’s moderate—higher than some European countries, but lower than places like the U.S. Still, the trend is what matters. If it’s rising, it means income inequality is getting worse.
That makes sense. So is it only used for income?
Mostly, but it can also be applied to wealth distribution. Though wealth tends to be more unequal than income, the Gini coefficient for wealth is usually higher.
Thanks, that really clears things up. I should’ve asked you sooner!
No problem. Economics pops up in the news all the time—it’s good to understand what those numbers really mean.
지민아, 너 경제학 전공 맞지?
맞아. 왜?
오늘 아침에 전남 헤럴드에서 소득 불평등에 관한 기사를 읽었는데, 거기서 ‘지니계수’라는 걸 언급했더라고. 불평등과 관련된 건 알겠는데, 정확히 어떤 건지 잘 모르겠어.
아, 지니계수. 그건 경제학에서 한 나라의 소득 불평등 정도를 수치로 나타낼 때 사용하는 지표야.
음… 그러면 그게 비율 같은 거야?
그렇진 않아. 0과 1 사이의 숫자로 나타내거든. 지니계수가 0 이면 완전한 평등을 의미해. 모든 사람이 똑같은 소득을 갖는다는 뜻이지. 반대로 1 이면 완전한 불평등이야. 한 사람이 모든 소득을 다 갖고 나머지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이지.
아, 그렇구나. 그러면 숫자가 1에 가까울수록 사회가 더 불평등하다는 거네?
맞아. 대부분의 나라는 그 중간 어딘가에 위치해. 예를 들어, 스웨덴 같은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은 복지 제도가 잘 되어 있어서 지니계수가 보통 0.25 정도로 낮아. 반면에 소득 재분배가 덜 이루어지는 나라들은 지니계수가 더 높지.
흥미롭네. 기사에서는 한국이 0.33 정도라고 하던데, 그건 높은 편이야?
중간 정도야. 유럽 몇몇 나라들보다는 높지만, 미국 같은 나라보다는 낮아. 그래도 중요한 건 수치 자체보다 추세야. 만약 상승하고 있다면 소득 불평등이 심해지고 있다는 뜻이지.
그러네. 그런데 지니계수는 소득에만 사용하는 거야?
주로 소득에 쓰이긴 하지만, 자산 분포에도 적용할 수 있어. 다만 자산은 소득보다 훨씬 불평등하게 분포돼 있어서, 자산 기준 지니계수는 보통 더 높아.
고마워, 이제 확실히 이해됐어. 진작에 너한테 물어볼 걸 그랬다!
천만에. 요즘 뉴스에 경제 얘기 자주 나오잖아. 이런 숫자들의 의미를 아는 건 꽤 유용하지.

Words & Expressions

  • economics : 경제학
  • article : 기사
  • income inequality : 소득 불평등
  • mention : 언급하다
  • Gini coefficient :지니 계수 (소득 불평등 지표)
  • related to :~와 관련된
  • measure : 지표, 측정하다
  • quantify : 수치화하다
  • percentage :백분율
  • equality : 평등
  • inequality : 불평등
  • unequal : 불평등한
  • Scandinavian :스칸디나비아의
  • welfare system : 복지 제도
  • income redistribution : 소득 재분배
  • tend to : ~하는 경향이 있다
  • score : 수치
  • moderate : 중간 정도의
  • rising : 증가하는
  • worse : 더 나쁜
  • be used for : ~에 사용되다
  • wealth distribution : 자산 분포
  • tend to be :~하는 경향이 있다
  • clear things up : 명확히 하다, 이해를 돕다
I was reading an article in The Chonnam Herald this morning about income inequality, and it mentioned something called the Gini coefficient.
  • 분사인 called 는 앞의 명사 something 을 수식하며, ‘지니 계수라고 불리는 어떤 것’ 이라고 해석한다.
It’s a common measure we use in economics to quantify income inequality within a country.
  • we use 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또는 which 가 생략된 관계절이며, 선행사 a common measure 를 수식한다. 주어진 문장은 It’s a common measure that we use~ 와 같이 바꾸어 쓸 수 있다.
So the closer the number is to 1, the more unequal the society is?
  • 주어진 문장은 'the+비교급~, the+비교급~' 구문으로 ‘~하면 할수록 더 …하다’ 라는 의미이다.
Still, the trend is what matters.
  • 명사절 what matters 는 be동사의 보어 역할을 하며, ‘중요한 것’ 이라고 해석한다.
Though wealth tends to be more unequal than income, the Gini coefficient for wealth is usually higher.
  • 양보의 부사절 접속사 though 는 ‘비록 ~이지만’ 이라는 의미로, 두 가지 내용을 대조하거나 양보의 의미(결과가 예상과 다름)로 이어줄 때 사용한다.
I should’ve asked you sooner!
  • 'should have p.p' 는 ‘~했어야 했다’ 라는 의미로, 과거에 했으면 좋았을 일을 아쉬워하거나 후회할 때 사용한다.

         <예문>
         You should have studied more.
         너 좀 더 공부했어야 했어. -> 그러나 과거에 그렇게 하지 않았음을 의미
         I shouldn't have said that.
        그런 말을 안 했어야 했는데 -> 과거 일에 대한 후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