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져요 전공영어

(경제) Game Theory

경제Game Theory

Key Points
  • 게임 이론은 여러 사람이 서로의 선택을 고려하며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전략적 상황을 분석하는 이론이다.
Key Words
  • Game Theory
  • Public Goods Game
  • Free-rider Problem
  • Nash Equilibrium
  • K-level reasoning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Ugh, Rachel, are we seriously the only ones doing the group project?
Looks like it. Brian and Lisa haven’t replied to any of our messages.
Typical free-rider problem. It’s just like something we learned in game theory.
Yeah—everyone gets the same grade, but only a few people actually work. In game theory, this is called a public goods game, where some people benefit without contributing.
And right now, I think we’re stuck in a Nash Equilibrium.
Remind me—how does that work again?
A Nash Equilibrium is a situation where no one can improve their outcome by changing their own strategy, as long as others keep theirs the same.
Oh, so in our case, we keep working hard because we care about our grade, and Brian and Lisa stay quiet because they know we’ll do it anyway.
Exactly. If we keep doing the work, they have no reason to change. And if they stay lazy, we don’t want to risk getting a bad grade—so we also don’t change.
So everyone’s just doing what’s best for themselves given what others are doing—even though it’s not fair or efficient. And, you know, what else this reminds me of? K-level reasoning.
Oh! Like how many steps ahead someone thinks?
Yeah. Think of it like this— Brian might be at Level 1: “Rachel and Ethan will work, so I don’t have to.” We might be at Level 2: “Brian thinks we’ll work, so if we don’t, we’ll all fail. We better do the work.” If we were all at Level 3 or higher, maybe everyone would realize we all lose if only a few work, and then cooperate more.
Right! The more people reason beyond just one or two steps, the better the group outcome could be. But if most people stay at lower levels, the system stays stuck.
So to fix this, maybe we need to change the rules or give people a reason to think deeper.
I didn’t expect to be doing this much game theory in one semester—especially not in a group project! I mean, game theory’s all about making decisions when other people’s choices affect your outcome.
하... 레이첼, 진짜 이 조별 과제 우리 둘만 하고 있는 거 실화야?
그런 것 같아. 브라이언이랑 리사는 메시지에 전혀 답도 안 하잖아.
전형적인 무임승차 문제야. 게임 이론에서 배운 거랑 똑같아.
맞아. 모두가 똑같은 점수를 받지만, 실제로는 소수만 일하지. 게임 이론에서는 이런 걸 공공재 게임이라고 하잖아. 어떤 사람은 아무 기여도 없이 혜택만 받는 거지.
그리고 지금 우리가 딱 내쉬 균형에 빠져 있는 것 같아.
그거 다시 설명해 줄래? 어떻게 되는 거였지?
내쉬 균형은 다른 사람이 자신의 전략을 그대로 유지하는 한, 누구도 자신의 전략을 바꿔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없는 상황을 말해.
아하, 그러니까 지금 상황에서 우리는 좋은 점수를 받고 싶어서 계속 열심히 일하고, 브라이언이랑 리사는 우리가 할 걸 아니까 가만히 있는 거네.
맞아. 우리가 계속 일하는 한, 그 애들은 바꿀 이유가 없지. 그리고 그 애들이 계속 게으르게 하면, 나쁜 점수를 받을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 않아서 우리도 바꾸지 않게 돼.
결국 다들 다른 사람들이 뭘 하는지 보고, 그 안에서 자기한테 가장 유리한 선택을 하는 거잖아. 공평하지도 않고 비효율적인데도 말야. 그런데 이 상황이 K단계 추론이랑도 닮지 않았어?
오! 그거 사람마다 몇 단계까지 생각하느냐 하는 거 맞지?
응. 예를 들어 보자면 브라이언은 1단계야: “레이첼이랑 이든이 하겠지. 난 안 해도 돼.” 우리는 2단계야: “브라이언은 우리가 할 거라 생각하고 있을 거야. 우리가 안 하면 다 같이 망하니까, 그냥 우리가 해야 해.” 모두가 3단계 이상으로 생각하면, “이러다간 다 망하겠구나. 우리 모두 조금씩이라도 협력하자”는 쪽으로 갈 수도 있지.
맞아! 사람들이 한두 단계 이상만 더 깊게 생각하면, 결과가 훨씬 나아질 수도 있어. 하지만 대부분이 낮은 단계에 머무르면, 시스템은 그대로 멈춰 있지.
그러니까 이걸 해결하려면, 아예 규칙을 바꾸거나 사람들이 더 깊게 생각할 수 있는 이유를 만들어야 할지도 몰라.
이번 학기에 이렇게 게임 이론을 실제로 써먹게 될 줄은 몰랐네, 그것도 우리 조별 과제에서 말이야! 그러니까, 게임 이론이라는 게 결국 다른 사람의 선택이 내 결과에 영향을 줄 때 어떻게 결정하느냐를 다룬다는 거지.

Words & Expressions

  • typical: 전형적인
  • free-rider: 무임승차자
  • game theory: 게임 이론
  • public goods game: 공공재 게임
  • benefit: 혜택을 얻다
  • contribute: 기여하다
  • stuck in: ~에 갇혀 있다
  • Nash Equilibrium: 내쉬 균형
  • remind: 상기시키다
  • improve: 개선하다
  • outcome: 결과
  • strategy: 전략
  • as long as: ~하는 한
  • stay quiet: 조용히 있다
  • risk: 위험을 감수하다
  • efficient: 효율적인
  • remind of: ~을 떠올리게 하다
  • K-level reasoning: K단계 추론
  • cooperate: 협력하다
  • reason: 추론하다
  • fix: 고치다,해결하다
  • give a reason: 이유를 제공하다
  • semester: 학기
  • decision-making: 의사 결정
  • affect: 영향을 미치다
  • complain about: ~에 대해 불평하다
Looks like it.
  • 'Looks like it' 은 '그런 것 같아' 라는 뜻으로 상황을 보고 추측할 때 자주 쓰는 표현이다. 이때 it 은 앞에서 언급된 상황이나 사실을 말한다.
           
             <예문>
            A: Are we the only ones who showed up? 우리밖에 안 온 거야?
            B: Looks like it. 그런 것 같네.

            A: Did she forget the meeting? 그녀가 회의를 잊었나
            B: Looks like it. She's not answering her phone. 그런 것 같아. 전화를 안 받아.
 
In game theory, this is called a public goods game, where some people benefit without contributing.
  • 관계부사 where 이 이끄는 문장은 선행사 a public goods game 을 수식한다. 장소 뿐 아니라 상황을 나타낼 때도 관계부사 where 을 사용한다. 'without+동명사' 는 '~하지 않고' 라는 의미의 표현이다.
A Nash Equilibrium is a situation where no one can improve their outcome by changing their own strategy, as long as others keep theirs the same.
  • 부사절 접속사 as long as 는 '~하는 한, ~하기만 한다면' 이라는 의미로 조건을 나타낸다.
Oh, so in our case, we keep working hard because we care about our grade, and Brian and Lisa stay quiet because they know we'll do it anyway.
  • 'keep+-ing' 는 '계속해서 ~하다' 라는 의미의 표현이다.
So everyone's just doing what's best for themselves given what others are doing-even though it's not fair or efficient.
  • what's best for themselves 는 명사절로 doing 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전치사 given 은 '~을 고려하면' 이라는 의미이며, 명사절 what others are doing 은 given 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even though 는 '비록~일지라도' 라는 의미의 양보의 부사절 접속사이다. 
The more people reason beyond just one or two steps, the better the group outcome could be.
  • 'the+비교급~, the+비교급..' 구문으로 '~하면 할수록 더 ... 하다' 라는 의미이다.
I didn't expect to be doing this much game theory in one semester-especially not in a group project!
  • 'I didn't expect to~' 는 '~할 줄 몰랐다, 예상하지 못했다' 라는 의미의 표현으로 놀람이나 예상밖의 일을 표현할 때 자주 쓰이는 말이다.

            <예문>
           I didn't expect to see you here!
           여기서 널 만날 줄은 몰랐어!
           I didn't expect to like the movie, but it was great
           그 영화가 마음에 들 줄은 몰랐는데, 정말 좋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