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져요 전공영어

(언어학) Billingualism

언어학Billingualism

Key Points
  • 이중언어사용이란 두 개의 언어를 유창하게 또는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Key Words
  • Bilingualism
  • Second Language Learning
  • Code-switching
  • Additive Bilingualism
  • Critical Period Hypothesis
  • Interlanguage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Ugh, I’m thinking about dropping Spanish next semester. I don’t even know why I need to learn another language. I mean, we’ve got all these translation apps and AI interpreters now. Why should I stress myself out learning it the hard way?
Really? I think learning a second language is super valuable—especially from a linguistics point of view.
But I’m already bad at grammar. Won’t it just confuse me more?
Actually, it can do the opposite. Bilingual people often develop stronger cognitive control because their brain is constantly switching between two languages. It improves things like focus and flexibility.
Huh, I didn’t know that. But it still seems kind of unnecessary unless I move abroad or something.
True, but there’s more to it. When you speak two languages, you can adapt better to different social situations—that’s called code-switching. It’s not just mixing languages randomly; it’s a smart way of communicating depending on who you’re talking to.
So it’s like a social skill?
Exactly. And there’s also this idea of additive bilingualism—where you add a second language without losing your first one. It can really strengthen your overall language awareness.
What if I started too late, though? I heard you have to be a kid to really become fluent.
That’s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it mostly affects pronunciation. But adults are better at learning rules consciously. You might have an accent, but you can still be fluent and confident.
That’s kind of reassuring. I guess it’s more than just memorizing vocab, huh?
Totally. You actually build what linguists call an interlanguage—a system your brain creates while learning. It shows how we organize grammar and meaning step by step.
Okay, you’re convincing me. I just don’t want to end up talking like a robot.
Don’t worry—you’ll develop natural rhythm as you get more input. And honestly, being bilingual gives you a deeper view of how language and culture connect.
Alright, maybe I’ll stick with Spanish after all.
하, 나 다음 학기에 스페인어 수강 취소할까 생각 중이야. 다른 언어를 꼭 배워야 하는 이유를 모르겠어. 요즘은 번역 앱이나 AI 통역기도 있잖아. 굳이 그렇게 힘들게 배울 필요가 있을까?
진짜? 나는 제2언어를 배우는 게 정말 가치 있다고 생각해. 특히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말이야.
하지만 난 원래 문법도 잘 못하잖아. 더 헷갈리기만 하지 않을까?
사실은 반대일 수도 있어.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두 언어를 계속 오가야 하니까 뇌의 인지 조절 능력이 더 강해지는 경향이 있어. 집중력이나 유연성 같은 것도 향상되고.
오, 그건 몰랐네. 그래도 외국에서 산다거나 그런게 아니라면 딱히 필요해 보이진 않아.
그럴 수도 있지만 사실 더 많은 장점이 있어. 두 언어를 구사할 수 있으면 상황에 따라 더 유연하게 대화할 수 있어. 이걸 코드 전환이라고 해. 그냥 언어를 아무렇게나 섞는 게 아니라, 대화 상대에 따라 적절히 언어를 바꾸는 기술이지.
그럼 사회적인 기술 같은 거네?
맞아. 그리고 첨가적 이중언어 사용이라는 개념도 있어. 제2언어를 배우면서 모국어를 잃지 않고 오히려 언어에 대한 전반적인 감각이 더 좋아지는 거지.
그래도 나는 너무 늦게 시작한 거 아니야? 어릴 때 배워야 유창하게 한다던데.
그건 결정적 시기 가설이라고 하는데, 주로 발음에 영향을 미쳐. 하지만 어른은 규칙을 의식적으로 배우는 데 더 강점이 있어. 약간의 억양은 있을 수 있지만 유창하고 자신 있게 말하는 건 충분히 가능해.
그 말 들으니까 좀 안심된다. 그냥 단어만 외우는 게 다가 아니구나.
맞아. 배우는 동안 뇌가 새로운 문법 체계를 만들어내는데, 그걸 중간언어라고 불러. 우리가 언어를 단계적으로 어떻게 조직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야.
오케이, 설득당한 것 같아. 다만 로봇처럼 말하는 건 싫은데.
걱정 마! 입력이 많아질수록 자연스러운 말하기 리듬이 생겨. 게다가 이중언어 사용자는 언어와 문화가 어떻게 연결되는지도 더 깊이 이해하게 돼.
좋아, 그럼 그냥 스페인어 계속 해볼까봐.

Words & Expressions

  • drop(a course): 수강을 포기하다
  • translation app: 번역 앱
  • AI interpreter: 인공지능 통역기
  • stress oneself out: 스스로를 스트레스받게 하다
  • valuable: 가치 있는
  • linguistics: 언어학
  • grammar: 문법
  • confuse: 혼란스럽게 하다
  • cognitive control: 인지 조절 능력
  • switch between: ~사이를 오가다
  • flexibility: 유연성
  • abroad: 해외에, 외국에
  • adapt: 적응하다
  • code-switching: 코드 전환, 언어 전환
  • randomly: 무작위로, 아무렇게나
  • communicate: 의사소통하다
  • depending on: ~에 따라
  • social skill: 사회적 기술
  • additive bilingualism: 첨가적 이중언어 사용
  • language awareness: 언어 인식 능력
  • critical period hypothesis: 결정적 시기 가설
  • pronunciation: 발음
  • consciously: 의식적으로
  • accent: 억양, 말투
  • fluent: 유창한
  • confident: 자신감 있는
  • reassuring: 안심이 되는
  • linguist: 언어학자
  • interlanguage: 중간언어
  • organize: 조직하다
  • convince: 설득하다
  • develop: 발달하다, 형성하다
  • input: 언어 입력
  • stick with: ~을 계속하다
  • verb conjugation: 동사 변화
Ugh, I'm thinking about dropping Spanish next semester.
  • 'I'm thinking about~' 은 단순히 생각하고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지금 진지하게 고려 중이라는 뜻이다.

            <비교>
            I think I'll drop Spanish.
           스페인어 수업 취소할지도 몰라. (I think~: 단순한 의견 제시)
           I'm considering dropping Spanish.
           스페인어 수업 취소하는 걸 고려중이야. (I'm considering~: 격식있는 표현)
It's not just mixing languages randomly; it's a smart way of communicating depending on who you're talking to.
  • 의문사 who 가 이끄는 절은 depending on 의 목적어역할을 하는 명사절로, '누구에게 말하고 있는지' 라고 해석한다.
And there's also this idea of additive bilingualism-where you add a second language without losing your first one.
  • 여기에서 관계부사 where 은 장소가 아닌 추상적인 상황이나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선행사는 this idea 로, 선행사를 수식하는 전치사구 of additive bilingualism 이 선행사와 관계사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What if I started too late, though?
  • 'What if ~ ?' 는 '만약 ~라면 어쩌지?' 라는 의미로, 단순한 의문문이 아니라 가정이나 우려, 또는 제안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예문>
           What if it rains during the picnic?
           소풍할 때 비가 오면 어떡하지?
           What if we split the project into smaller tasks?
           프로젝트를 더 작은 업무로 나누는 건 어떨까?
You actually build what linguists call an interlanguage-a system your brain creates while learning.
  • what linguists call an interlanguage 는 동사 build 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며, '언어학자들이 중간언어라고 부르는 것' 이라고 해석한다. while you are learning 과 같이 바꾸어 쓸 수 있다. 부사절 접속사 while 은 '~하는 동안에' 라는 의미이다.
Don't worry-you'll develop natural rhythm as you get more input.
  • 접속사 as 는 '~함에 따라서' 라는 의미로, 두 동작이 동시에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시간에 따라 비례함을 나타낸다.
And honestly, being bilingual gives you a deeper view of how language and culture connect.
  • 문장의 주어는 동명사인 being bilingual('이중언어사용자가 되는 것')이다. 동사 gives 는 간접목적어로 you, 직접목적어로 a deeper view 를 취한다.
But only if you help me survive verb conjugations.
  • 'only if ~' 는 '오직 ~하는 경우에만' 이라는 의미로, 전제 조건을 강조하여 조건을 강하게 제한하는 표현이다.

            <예문>
           You can borrow my notes, but only if you return them tomorrow.
           
내 노트 빌려도 돼, 근데 내일 돌려줘야만 돼.
           I'll join the club-only if it doesn't meet on weekends.
           
나 그 동아리 들어갈게, 주말에만 안 만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