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져요 전공영어

(경제) Stock Market

경제Stock Market

Key Points
  • 주식은 기업의 소유권을 나누어 가진 증서로, 이를 사고 팔며 수익을 얻는 투자 수단이다.
Key Words
  • Stock Market
  • Equity Ownership
  • Initial Public Offering(IPO)
  • Supply and Demand 
  • Portfolio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Hey Minjun, did you see that banner in front of the student center? There’s going to be a “University Stock Investment Simulation Contest” hosted by Chonnam Securities.
Yeah, I saw that. It’s a mock trading competition where students use virtual money to invest in real-time stock data. It’s a great way to learn how the market works without taking any financial risk.
That sounds really interesting. I’ve always wanted to understand the stock market better, but I’ve never actually learned how it started or how it really works. You’ve joined a few of these competitions before, and you know a lot about stocks, right, Minjun?
Yeah, I’ve actually entered a couple of those contests, and they taught me a lot. To give you the big picture, stock trading has a surprisingly long history. The first official stock exchange opened in Amsterdam in 1602, when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issued shares to the public. That moment is considered the birth of the modern stock market.
Wow, I didn’t realize it had such a long history.
Yeah, and over time, stock markets became more organized. Now we have major stock exchanges like the New York Stock Exchange and the KOSPI here in Korea. They provide a platform where investors can buy and sell stocks—which are essentially small ownership units of companies.
So by buying a stock, you actually own a part of a company?
Exactly. That’s called equity ownership. Companies sell shares through a process called an initial public offering, or IPO, to raise capital for growth. Investors buy those shares hoping their value will increase, leading to capital gains or dividends.
What determines whether the price goes up or down?
It’s mostly based on supply and demand. If more people want to buy a stock, the price goes up. If more people want to sell, the price goes down. Market sentiment, company earnings, and economic news can all influence this.
Makes sense. But isn’t it risky?
It is. That’s why people diversify their portfolio—which means spreading investments across different sectors or asset types. In competitions like this, you can experiment with different strategies and get a feel for the market without losing real money.
I see. I think I’ll give it a try. Thanks, Minjun! You’re basically my finance coach now.
Anytime! Let’s make a plan before the contest starts.
민준아, 학생회관 앞에 걸린 현수막 봤어? 전남증권 주최로 “대학생 모의 주식투자 대회”가 열린대.
응, 나도 봤어. 학생들이 가상 자금을 가지고 실시간 주식 데이터를 이용해서 투자하는 모의 투자 대회야. 실제 돈을 쓰지 않고 주식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지.
오, 진짜 흥미롭다. 나도 주식 시장에 대해 알고 싶었는데, 사실 어떻게 시작됐는지나 원리가 어떻게 되는지는 제대로 배운 적이 없어. 너는 예전에 이런 대회도 몇 번 나갔고, 주식도 좀 알잖아, 그렇지 민준아?
응, 나는 실제로 그런 대회 두 번 정도 참가해봤는데 많이 배웠어. 큰 그림부터 말하자면, 주식 거래는 꽤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최초의 공식적인 증권거래소는 1602년에 암스테르담에서 만들어졌고, 그때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대중에게 주식을 발행했지. 그게 현대 주식시장의 시작으로 여겨져.
와, 그렇게 오래된 줄은 몰랐어.
응,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주식시장은 점점 더 체계적으로 정비됐어. 지금은 뉴욕증권거래소나 우리나라의 코스피처럼 주요 거래소들이 있잖아. 이런 곳들은 투자자들이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장을 제공해. 주식은 쉽게 말하면 회사의 소유권 일부를 나눠 가진 거야.
그럼 주식을 산다는 건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게 된다는 뜻이야?
맞아. 그걸 지분 소유권이라고 해. 회사들은 사업 확장을 위해 자본을 조달해야 할 때 기업공개, 즉 IPO를 통해 주식을 발행해. 투자자들은 그 주식의 가치가 오르길 바라면서 사는 거고, 그러면 자본이득이나 배당금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어.
그런데 주가가 오르거나 내리는 건 무엇에 따라 결정되는 거야?
주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돼. 어떤 주식을 사고 싶은 사람이 많으면 가격이 올라가고, 팔고 싶은 사람이 많으면 가격이 내려가. 시장 분위기나 기업 실적, 경제 뉴스 같은 것도 모두 영향을 줘.
그렇구나. 그런데 위험하지는 않아?
당연히 리스크는 있어. 그래서 사람들이 포트폴리오 분산 투자를 해. 다양한 산업이나 자산에 나눠서 투자하는 거지. 이런 모의 대회에서는 진짜 돈을 잃을 걱정 없이 여러 전략을 실험해볼 수 있어서 좋은 연습이 돼.
그렇구나. 나도 한번 참가해볼까 봐. 고마워, 민준아! 이젠 네가 거의 내 금융 코치야
언제든지! 대회 시작 전에 같이 계획 한번 세워보자.

Words & Expressions

  • banner: 현수막
  • mock trading competition: 모의 투자 대회
  • virtual: 가상의
  • financial: 재무의
  • stock market: 주식 시장
  • stocks: 주식
  • stock trading: 주식 거래
  • official stock exchange: 공식 증권거래소
  • Amsterdam: 암스테르담
  • Dutch East India Company: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 shares: 주식,지분
  • KOSPI: 코스피 지수(한국 종합주가지수)
  • platform: 플랫폼,거래소
  • equity ownership: 지분 소유권
  • initial public offering(IPO): 기업공개
  • raise capital: 자본을 조달하다
  • growth: 성장
  • capital gains: 자본 이득
  • dividend: 배당금
  • supply and demand:수요와 공급
  • market sentiment: 시장 심리
  • company earnings: 기업 실적
  • risky: 위험한
     
  • diversify: 분산 투자하다
  • portfolio: 포트폴리오
  • asset: 자산
     
  • experiment: 실험하다
     
  • strategy: 전략
It's great way to learn how the market works without taking any financial risk.
  • 'It's a great way to~' 는 '~하는 훌륭한 방법이다' 라는 의미로, 어떤 활동이나 방법이 유용하고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전달한다. how the market works 는 to learn 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다. without taking any financial risk 에서 'without + ing' 는 '~하지 않고' 라는 의미의 표현이다.
  
             <예문>
             It's a great way to make new friends.
            새로운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좋은 방법이야.
             It's a great way to practice English every day.
            매일 영어를 연습하기에 아주 좋은 방법이야.
The first official stock exchange opened in Amsterdam in 1602, when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issued shares to the public.
  • when 이하는 시간의 부사절로, 주절의 사건과 부사절의 사건이 같은 시기에 일어났다는 것을 설명한다.
That moment is considered the birth of the modern stock market.
  • 'be considered + 명사' 는 '~라고 여겨진다' 라는 의미의 수동태 표현이다. 수동태이지만 뒤에 명사가 오는 것에 유의한다. 이때 명사는 목적어가 아닌 목적격 보어이다.

           <예문>
           This painting is considered a masterpiece of modern art.
           이 그림은 현대 미술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He is considered one of the best players in the league.
           그는 리그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They provide a platform where investors can buy and sell stocks-which are essentially small ownership units of companies.
  • 관계부사 where이 이끄는 절은 선행사 a platform을 수식한다. 관계절 which are essentially small ownership units of companies 는 선행사 stocks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That's why people diversify their portfolio-which means spreading investments across different sectors or asset types.
  • 'that's why + 주어 + 동사' 는 '그래서 ~한 것이다' 라는 의미로, 앞의 내용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예문>
            He didn't study. That's why he failed the test.
            그는 공부를 하지 않았어. 그래서 시험에 떨어진 거야.
            It's raining. That's why I brought an umbrella.
            비가 와. 그래서 우산을 챙겨왔어.
I think I'll give it a try.
  • 'I'll give it a try.' 는 '한번 시도해 볼 게.' 라는 의미의 표현이다.

            <예문>
            I've never done this before, but I'll give it a try.
            이건 한 번도 해 본 적 없지만, 시도해 볼 게.
            This dish looks interesting. I'll give it a try.
            이 요리 재미있게 생겼네. 먹어 볼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