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mean, I know how to drive the car, but I realized I don't actually know how it works.
- 'how+to부정사' 는 '~하는 법' 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간접의문문 'how+주어+동사' 는 know 의 목적어 역할을 하며, '어떻게 ~하는지' 라는 의미이다.
And here I am, controlling a moving machine.
- and here I am 과 같은 표현은 실제 대화에서 말하는 사람이 자신의 현재 상황을 강조하거나 실감이 나지 않을 때 사용한다.
<예문>
I studied art,
and now here I am working in finance.
난 미술을 전공했는데, 지금은 금융 쪽에서 일하고 있다니.
I missed one class,
and here I am failing the course.
수업 한 번 빠졌을 뿐인데, 이렇게 낙제하고 있다니.
Alright, at the core of it is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 주어진 문장은 '전치사구+동사+주어'의 도치구문이다. 전치사구나 부사구가 문장의 맨 앞으로 와서 강조될 때, 주어와 동사의 순서가 바뀌는 도치가 일어난다. 문장의 주어는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동사는 is 이다.
원래 어순: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at the core of it.
도치된 어순: At the core of it is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Man, I had no idea there was that much going on every time I press the pedal.
- 앞 문장은 과거 시제를, 뒷 문장은 현재 시제를 사용해서 과거에 몰랐던 사실이 지금도 반복되고 있는 동작임을 강조한다. 'I had no idea~' 는 '전혀 몰랐다' 는 의미로 강한 무지, 놀라움을 나타낸다.
<예문>
I had no idea you were coming!
네가 올 줄은 전혀 몰랐어!
I had no idea this restaurant was so popular.
이 식당이 이렇게 인기 있는 줄 전혀 몰랐어.
But once you understand the basics, it actually makes driving feel even cooler, right?
- 조건절 접속사 once 는 '일단 ~하면' 이라는 의미이다. makes driving feel 은 'make+목적어+동사원형' 의 구문으로 '목적어가 ~하게 만들다' 라는 뜻이다.
I feel like I owe you a coffee for the mini lecture.
- 'I owe you~' 는 일상 회화에서 '신세를 졌다, 은혜를 갚아야 한다' 라는 의미로 자주 쓰인다.
<예문>
I owe you an apology.
너한테 사과해야겠어.
I owe you a favor.
너한테 한 번 신세졌지.
Next time you drive us somewhere, coffee's on you.
- '[something] is on [someone]' 은 '~가 계산한다, ~가 비용을 부담한다' 라는 의미로, 여기에서 on 은 '책임이 있는, 부담하는' 이라는 뜻이다.
<예문>
Lunch is on me today.
오늘 점심은 내가 낼게.
Don't worry,
it's on the house.
걱정 마세요, 이건 가게에서 드리는 서비스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