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져요 전공영어

(공학) How a Car Engine Works

공학How a Car Engine Works

Key Points
  • 자동차 엔진은 연료와 공기를 태워 생긴 폭발 에너지로 피스톤을 움직여 바퀴를 돌리는 장치이다.
Key Words
  • Automotive Engineering
  • Internal Combustion Engine
  • Cylinder
  • Camshaft
  • Engine Control Unit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Hey, Steve! I finally drove to campus today. Honestly, kind of surreal. I mean, I know how to drive the car, but I realized I don’t actually know how it works.
Haha, yeah, a lot of people feel that way. Lucky for you, I’m studying automotive engineering—want the short version?
Definitely. What exactly happens when I press the gas pedal?
Alright, at the core of it is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Most cars still use this system. It converts chemical energy in fuel into mechanical energy.
Okay… so like explosions inside the engine?
Exactly. Inside the cylinders, there’s a mix of air and fuel. A spark plug ignites it, causing a small explosion. That pushes a piston down.
Right, and then?
The piston is connected to a crankshaft, which turns that up-and-down motion into rotation. That rotation eventually turns the wheels, through the transmission system.
Ah, so the crankshaft is what really powers the car?
Yes, but it’s part of a larger system. There’s also the camshaft, which controls the intake and exhaust valves. These let air in and push exhaust gases out. Everything has to be timed perfectly, and that’s managed by the timing belt.
Wow… it’s like a whole orchestra playing in sync.
Exactly! And the ECU—that’s the Engine Control Unit—acts like the conductor. It’s a computer that controls fuel injection, ignition timing, and even emission levels, based on real-time data.
Man, I had no idea there was that much going on every time I press the pedal.
Most people don’t. But once you understand the basics, driving feels even cooler.
안녕, 스티브! 오늘 드디어 학교에 차를 몰고 갔어.  솔직히 말해서, 좀 비현실적이었어. 차를 운전하는 법은 아는데, 막상 이게 어떻게 작동하는 지는 모르겠더라고.
하하, 맞아. 대부분 사람들도 그렇지. 그런데 너 운이 좋아. 내가 자동차공학 전공하잖아. 간단히 설명해줄까?
완전 좋지. 가속 페달을 밟으면 정확히 무슨 일이 일어나는 거야?
좋아, 핵심은 내연기관이야. 대부분의 자동차가 아직 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어. 연료에 있는 화학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바꿔주는 거지.
음… 그러니까 엔진 안에서 폭발이 일어나는 거야?
맞아. 실린더 안에서 공기랑 연료가 섞이고, 점화 플러그가 그걸 점화시켜서 작은 폭발이 일어나. 그러면 피스톤이 아래로 밀려.
그다음엔 어떻게 돼?
피스톤은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있어서, 위아래로 움직이는 걸 회전 운동으로 바꿔줘. 그 회전력이 결국 변속 장치를 통해 바퀴를 돌리게 돼.
아, 그러니까 크랭크축이 실제로 차를 움직이게 하는 거구나?
응, 근데 그건 전체 시스템의 일부일 뿐이야. 캠축이라는 것도 있는데, 이건 흡기 밸브랑 배기 밸브를 제어해. 공기가 들어오고, 배기가스가 나가는 걸 조절하지. 이 모든 게 완벽한 타이밍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걸 타이밍 벨트가 맞춰줘.
와… 마치 조화롭게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같네.
정확해! 그리고 ECU, 즉 엔진 제어 장치가 지휘자 역할을 해. 엔진 제어 장치는 연료 분사, 점화 시점, 배출가스 조절까지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 조절해 주는 컴퓨터야.
헐… 내가 페달 한 번 밟을 때마다 그렇게 많은 일이 일어나는 줄은 몰랐어.
대부분 사람들이 그렇지. 그런데, 기본 구조만 알아도 운전이 더 멋있게 느껴질거야.

Words & Expressions

  • license: 면허
  • surreal: 비현실적인, 꿈 같은
  • press the gas pedal: 자동차 페달을 밟다
  • automotive engineering: 자동차 공학 
  • internal combustion engine: 내연기관
  • convert A into B: A를 B로 바꾸다
  • chemical energy: 화학에너지
  • mechanical energy: 기계적 에너지
  • fuel: 연료
  • explosion: 폭발
  • cylinder: 실린더
  • spark plug: 점화 플러그
  • ignite: 점화하다
  • piston: 피스톤
  • crankshaft: 크랭크축
  • motion: 동작
  • rotation: 회전
  • transmission system: 변속 장치
  • power: 움직이게 하다
  • camshaft: 캠축
  • intake valve: 흡기 벨브
  • exhaust valve: 배기 벨브
     
  • in sync: 조화를 이루어, 동시에 맞춰
  • ECU(Engine Control Unit): 전자 제어 장치
  • conductor: 지휘자
  • fuel injection: 연료분사
I mean, I know how to drive the car, but I realized I don't actually know how it works.
  • 'how+to부정사' 는 '~하는 법' 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간접의문문 'how+주어+동사' 는 know 의 목적어 역할을 하며, '어떻게 ~하는지' 라는 의미이다.
And here I am, controlling a moving machine.
  • and here I am 과 같은 표현은 실제 대화에서 말하는 사람이 자신의 현재 상황을 강조하거나 실감이 나지 않을 때 사용한다.

             <예문>
             I studied art, and now here I am working in finance.
             난 미술을 전공했는데, 지금은 금융 쪽에서 일하고 있다니.
             I missed one class, and here I am failing the course.
             수업 한 번 빠졌을 뿐인데, 이렇게 낙제하고 있다니.
Alright, at the core of it is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 주어진 문장은 '전치사구+동사+주어'의 도치구문이다. 전치사구나 부사구가 문장의 맨 앞으로 와서 강조될 때, 주어와 동사의 순서가 바뀌는 도치가 일어난다. 문장의 주어는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동사는 is 이다.

             원래 어순: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at the core of it.
             도치된 어순: At the core of it is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Man, I had no idea there was that much going on every time I press the pedal.
  • 앞 문장은 과거 시제를, 뒷 문장은 현재 시제를 사용해서 과거에 몰랐던 사실이 지금도 반복되고 있는 동작임을 강조한다. 'I had no idea~' 는 '전혀 몰랐다' 는 의미로 강한 무지, 놀라움을 나타낸다.

           <예문>
           I had no idea you were coming!
           네가 올 줄은 전혀 몰랐어!
           I had no idea this restaurant was so popular.
           이 식당이 이렇게 인기 있는 줄 전혀 몰랐어.
But once you understand the basics, it actually makes driving feel even cooler, right?
  • 조건절 접속사 once 는 '일단 ~하면' 이라는 의미이다. makes driving feel 은 'make+목적어+동사원형' 의 구문으로 '목적어가 ~하게 만들다' 라는 뜻이다.
I feel like I owe you a coffee for the mini lecture.
  • 'I owe you~' 는 일상 회화에서 '신세를 졌다, 은혜를 갚아야 한다' 라는 의미로 자주 쓰인다.

             <예문>
              I owe you an apology.
              너한테 사과해야겠어.
              I owe you a favor.
              너한테 한 번 신세졌지.
Next time you drive us somewhere, coffee's on you.
  • '[something] is on [someone]' 은 '~가 계산한다, ~가 비용을 부담한다' 라는 의미로, 여기에서 on 은 '책임이 있는, 부담하는' 이라는 뜻이다.

             <예문>
              Lunch is on me today.
              오늘 점심은 내가 낼게.
              Don't worry, it's on the house.
              
걱정 마세요, 이건 가게에서 드리는 서비스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