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져요 전공영어

(문학) Charles Dickens

문학Charles Dickens

Key Points
  • 찰스 디킨스는 19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사회 문제를 생생하게 묘사한 대표적인 소설가이다.
Key Words
  • Charles Dickens
  • Great Expectations
  • Social Commentary
  • Bildungsroman
  • Symbolism
  • Characterization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So, our presentation on Charles Dickens is next Thursday We should probably outline the key points today.
Yeah, definitely I was thinking we could focus on Great Expectations as our main text, and then connect it to broader themes in Dickens’s work.
Sounds good Professor Langley did mention that Dickens is a master of social commentary—you know, using fiction to criticize problems in society, like poverty or class injustice.
Right And Great Expectations is a great example of that. Through Pip’s rise and fall in the social hierarchy, Dickens questions whether social status really defines a person’s worth.
And since Great Expectations is a bildungsroman—that’s a coming-of-age story focused on the protagonist’s mor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we can trace how Pip matures and sees through the illusions of wealth and gentility.
That’s a great point. Maybe we can divide the presentation into three parts: first, Dickens’s background and writing style; second, Great Expectations as a bildungsroman; and third, his use of social critique.
I like that. For background, we should mention his experience working at a blacking factory as a child. That hardship really influenced his portrayal of poverty and child labor in his novels.
Definitely. And I think we should also explain symbolism. For example, Miss Havisham’s crumbling house symbolizes emotional decay and the destructive power of holding onto the past.
Totally. And Dickens is brilliant at characterization, too—that’s how writers create and develop characters. Even his minor characters are vivid and memorable. Take Wemmick, for instance. He’s completely different at work and at home, and both sides feel real.
Exactly. I’ll cover that section, along with how Dickens uses minor characters to reflect broader themes. You can handle the bildungsroman part and the social commentary.
Sounds good. Let’s meet again on Tuesday to put our slides together and do a run-through. We should aim for around 10 minutes each.
Agreed. I’ll also gather some visuals—maybe some original illustrations or excerpts from the serial versions.
Nice! With this much preparation, I think we’ll be ready to impress Professor Langley.
우리 찰스 디킨스 발표가 다음 주 목요일이잖아. 오늘 핵심 내용을 좀 정리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
응, 맞아. 나는 <위대한 유산>을 중심 텍스트로 삼고, 그걸 디킨스 작품 전반의 주제들과 연결하면 어떨까 생각했어.
좋은 생각이야. 랭리 교수님도 디킨스가 사회 비판의 대가라고 하셨잖아. 그러니까 문학을 통해 빈곤이나 계급 불평등 같은 사회 문제를 비판하는 거지.
맞아. <위대한 유산>이 그 대표적인 예인 것 같아. 주인공 핍이 사회적 계급의 상승과 몰락을 겪는 것을 통해, 디킨스는 사회적 지위가 사람의 가치를 결정짓는가에 대해 질문을 던져.
그리고 <위대한 유산>은 성장소설이기도 해. 주인공의 도덕적, 심리적 성장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야기 말이야. 핍이 어떻게 성숙해지고, 부와 신분에 대한 환상을 깨닫게 되는지를 따라갈 수 있어.
정말 좋은 지적이야. 발표는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면 어떨까? 첫째, 디킨스의 배경과 문체, 둘째는 <위대한 유산>을 성장소설로서 분석, 그리고 셋째는 사회 비판적인 측면, 이렇게 말야.
좋아. 배경 부분에서는 어릴 때 구두약 공장에서 일한 경험을 꼭 언급해야 해. 그때의 힘든 경험이 빈곤과 아동 노동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데 큰 영향을 줬거든.
맞아. 그리고 상징도 꼭 설명하면 좋을 것 같아. 예를 들어, 미스 해비샴의 무너져가는 집은 감정의 부패나 과거에 집착하는 것의 파괴적인 힘을 상징하잖아.
동의해. 디킨스는 등장인물 묘사도 정말 뛰어나. 작가가 인물을 창조하고 발전시키는 방법 말이야. 조연 인물들까지 다 생생하고 기억에 남아. 웨믹만 봐도 그래. 직장에서는 냉철하지만, 집에서는 따뜻한 사람이고, 두 모습 다 진짜처럼 느껴져.
맞아. 그 부분은 내가 맡을게. 디킨스가 어떻게 조연들을 통해 더 큰 주제를 전달하는지도 같이 말하면 좋을 것 같아. 너는 성장소설 파트랑 사회 비판 파트를 맡아줘.
좋아. 그럼 화요일에 다시 만나서 슬라이드 만들고 리허설하자. 우리 각자 10분 정도 발표하는 걸 목표로 하자.
콜. 나는 예전 연재본에 있던 삽화나 발췌 같은 시각 자료도 좀 모아볼게.
좋아! 이 정도로 준비하면 랭리 교수님께 확실히 좋은 인상 줄 수 있을 것 같아.

Words & Expressions

  • outline : 개요를 짜다, 윤곽을 정리하다
  • connect to : ~와 연결하다
  • theme : 주제
  • work :(작가의) 작품, 문학 활동
  • mention : 언급하다
  • master of : ~의 대가, 거장
  • social commentay : 사회 비판 (문학이나 예술을 통해 사회 문제를 비판하거나 논평하는 것)
  • fiction : 소설, 허구
  • criticize : 비판하다
  • poverty : 빈곤
  • class injustice : 계급 불평등
  • social hierarchy : 사회적 계층 구조
  • define : 정의하다
  • bildungsroman : 성장소설 (주인공의 성장과 성숙을 그린 장르)
  • coming-of-age : 성인, 성인이 됨
  • protagonist : 주인공
  • moral : 도덕의
  • psychological : 심리적인
  • trace : 추적하다, 따라가다
  • mature :성숙해지다
  • see through : 꿰뚫어 보다, 간파하다
  • illusion : 환상
  • gentility : 고상함, 상류층스러움
  • divide into : ~로 나누다
  • writing style : 문체
  • blacking factory :구두약 공장
  • hardship : 고난, 어려움
  • portrayal : 묘사
  • child labor :아동 노동
  • symbolism : 상징주의 (상징적인 표현을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 문학 기법)
  • crumbling : 무너져가는
  • symbolize : 상징하다
  • decay : 부패
  • destructive :파괴적인
  • hold onto : 집착하다, 계속 붙잡다
  • characterization : 인물 묘사 (등장인물을 창조하고 묘사하는 기법)
  • vivid : 생생한
  • memorable : 기억에 남는
  • reflect : 반영하다
  • run-through : 예행연습, 리허설
  • aim for : ~을 목표로 하다
  • visual : 시각 자료
I was thinking we could focus on Great Expectations as our main text, and then connect it to broader themes in Dickens’s work.
  • 'I was thinking~' 은 ‘~하면 어떨까 생각하고 있었어’ 라는 의미로, 제안을 하거나 자신의 생각을 부드럽게 전달할 때 사용한다. 직접적인 제안보다는 조심스럽게 의견을 제시할 때 유용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we could focus on~ 에서도 조동사 could 를 사용한다. 조동사 can 은 직접적인 제안에, could 는 가능성을 제시할 때 사용한다.

         <예문>
          I was thinking we could meet a bit earlier to rehearse our presentation.
         우리 발표 리허설하려면 조금 일찍 만나면 어떨까 생각했어.
          I was thinking of inviting Professor Kim to our seminar.
         우리 세미나에 김 교수님을 초대하면 어떨까 생각하고 있었어.
Professor Langley did mention that Dickens is a master of social commentary—you know, using fiction to criticize problems in society, like poverty or class injustice.
  • 은 조동사 do를 사용하여 동사를 강조하는 표현이다. 내용을 강조하거나 의심이나 부정에 대응할 때 사용한다.

         <비교>
         Professor Langley mentioned that Dickens is a master of social commentary.
         랭리 교수님이 그렇게 말씀하셨어. -> 사실 전달
         Professor Langley did mention that Dickens is a master of social commentary.
         랭리 교수님이 정말로 그렇게 말씀하셨어. -> 강조
And since Great Expectations is a bildungsroman—that’s a coming-of-age story focused on the protagonist’s mor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we can trace how Pip matures and sees through the illusions of wealth and gentility.
  • 부사절 접속사 since 는 ‘~이기 때문에’ 라는 의미로 이유를 나타낸다. And since ~ psychological development 까지는 부사절이며, 문장 전체의 주어는 we, 동사는 can trace 이다.
And I think we should also explain symbolism.
  • 의견을 제시하거나 부드럽게 권유할 때는 조동사 should 를 사용한다. should를 사용하면 너무 강하지 않게, 상대방의 동의를 유도하는 부드럽고 협력적인 말이 된다.

         <비교>
         We must also explain symbolism. 상징도 반드시 설명해야 해.
         -> 강한 의무 :  규칙이나 필수조건. '넣지 않으면 감점이 됨' 과 같은 공식적인 발표
         We have to explain symbolism too. 상징도 설명해야 해.
         -> 외부 조건에 의해 해야 만 하는 일, 강제성을 강조
         We can also explain symbolism. 상징도 설명할 수 있어.
         -> 단순한 가능성이나 허용, '할 수도 있어' 정도의 열린 선택
         We will also explain symbolism. 우리는 상징도 설명할 거야.
         -> 계획이나 미래의 행동, 이미 발표순서를 다 정했을 때 확정된 말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