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was thinking we could focus on Great Expectations as our main text, and then connect it to broader themes in Dickens’s work.
- 'I was thinking~' 은 ‘~하면 어떨까 생각하고 있었어’ 라는 의미로, 제안을 하거나 자신의 생각을 부드럽게 전달할 때 사용한다. 직접적인 제안보다는 조심스럽게 의견을 제시할 때 유용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we could focus on~ 에서도 조동사 could 를 사용한다. 조동사 can 은 직접적인 제안에, could 는 가능성을 제시할 때 사용한다.
<예문>
I was thinking we could meet a bit earlier to rehearse our presentation.
우리 발표 리허설하려면 조금 일찍 만나면 어떨까 생각했어.
I was thinking of inviting Professor Kim to our seminar.
우리 세미나에 김 교수님을 초대하면 어떨까 생각하고 있었어.
Professor Langley did mention that Dickens is a master of social commentary—you know, using fiction to criticize problems in society, like poverty or class injustice.
- 은 조동사 do를 사용하여 동사를 강조하는 표현이다. 내용을 강조하거나 의심이나 부정에 대응할 때 사용한다.
<비교>
Professor Langley
mentioned that Dickens is a master of social commentary.
랭리 교수님이 그렇게 말씀하셨어. -> 사실 전달
Professor Langley
did mention that Dickens is a master of social commentary.
랭리 교수님이 정말로 그렇게 말씀하셨어. -> 강조
And since Great Expectations is a bildungsroman—that’s a coming-of-age story focused on the protagonist’s mor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we can trace how Pip matures and sees through the illusions of wealth and gentility.
- 부사절 접속사 since 는 ‘~이기 때문에’ 라는 의미로 이유를 나타낸다. And since ~ psychological development 까지는 부사절이며, 문장 전체의 주어는 we, 동사는 can trace 이다.
And I think we should also explain symbolism.
- 의견을 제시하거나 부드럽게 권유할 때는 조동사 should 를 사용한다. should를 사용하면 너무 강하지 않게, 상대방의 동의를 유도하는 부드럽고 협력적인 말이 된다.
<비교>
We
must also explain symbolism. 상징도 반드시 설명해야 해.
-> 강한 의무 : 규칙이나 필수조건. '넣지 않으면 감점이 됨' 과 같은 공식적인 발표
We
have to explain symbolism too. 상징도 설명해야 해.
-> 외부 조건에 의해 해야 만 하는 일, 강제성을 강조
We
can also explain symbolism. 상징도 설명할 수 있어.
-> 단순한 가능성이나 허용, '할 수도 있어' 정도의 열린 선택
We
will also explain symbolism. 우리는 상징도 설명할 거야.
-> 계획이나 미래의 행동, 이미 발표순서를 다 정했을 때 확정된 말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