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져요 전공영어

(역사) The French Revolution

역사The French Revolution

Key Points
  • 프랑스 대혁명은 1789년에 시작된 민중의 봉기로, 절대왕정을 무너뜨리고 자유·평등·민주주의 이념을 확산시킨 역사적 사건이다.
Key Words
  • The French Revolution
  • The Estates-General meeting
  • The Third Estate
  • The National Assembly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Hey, Daniel. Thanks for meeting me. I know you’re majoring in history, and I really need help understanding the French Revolution for my paper.
No problem, Rachel. It’s a fascinating topic. What part are you struggling with?
I guess the causes. I know it started in 1789, but I don’t fully get what made the people rise up.
There were several causes. Economically, France was in serious debt after helping the American Revolution. Plus, the tax system was unfair—peasants and the middle class paid most of the taxes, while the nobility and clergy paid very little.
That makes sense. And the monarchy wasn’t helping, right?
Exactly. Louis XVI was seen as weak and indecisive. And people were also inspired by Enlightenment ideas—about liberty, equality, and popular sovereignty.
Right, I remember reading about Rousseau and Voltaire in class. So what actually triggered the revolution?
The Estates-General meeting in 1789 was a big moment. The Third Estate, which represented common people, broke away and declared itself the National Assembly. That led to the storming of the Bastille on July 14.
Oh, Bastille Day! That’s still celebrated in France, isn’t it?
Yep. It symbolizes the start of the revolution. After that, things escalated quickly—abolishing the monarchy, the Reign of Terror, and eventually Napoleon taking power.
Wow, it really was a turning point in history.
Definitely. It changed how people thought about government and rights—not just in France but around the world.
Thanks, Daniel. That really helped clear things up. I think I can actually start writing my paper now!
Anytime. Let me know if you need help with the Reign of Terror. That part gets pretty intense.
안녕, 다니엘. 만나줘서 고마워. 네가 역사 전공이라는 거 알아서 그러는데,리포트를 쓰는데 프랑스 대혁명에 대해 좀 도와줬으면 해.
좋아, 레이첼. 정말 흥미로운 주제지. 어느 부분이 어려워?
원인이 좀 헷갈려. 1789년에 시작됐다는 건 알겠는데, 사람들이 왜 그렇게 들고 일어난 건지 잘 모르겠어.
여러 가지 원인이 있었어. 경제적으로는 프랑스가 미국 독립 전쟁을 도우면서 심각한 빚을 지게 됐어. 게다가 세금 제도도 불공평했고. 농민이나 중산층이 대부분의 세금을 내고, 귀족이나 성직자들은 거의 안 냈어.
그건 말이 되네. 그리고 왕정도 별 도움이 안 됐던 거지?
맞아. 루이 16세는 우유부단하고 리더십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거든. 그리고 사람들은 계몽사상에도 영향을 받았어. 자유, 평등, 국민 주권 같은 것들 말이야.
맞아, 루소랑 볼테르에 대해 수업에서 읽은 기억 나. 그럼 실제로 혁명을 촉발한 건 뭐였어?
1789년에 열린 삼부회가 큰 전환점이었어. 평민을 대표하던 제3신분이 독립해서 국민의회를 선언했거든. 그게 결국 7월 14일 바스티유 감옥 습격으로 이어졌어.
아, 바스티유의 날! 지금도 프랑스에서 기념하는 날이지?
응. 프랑스 혁명의 시작을 상징하는 날이야. 그 이후로는 급속히 상황이 전개됐지. 왕정 폐지, 공포정치, 그리고 결국 나폴레옹의 집권까지.
와, 진짜 역사적으로 엄청난 전환점이었네.
이걸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고마워, 다니엘. 덕분에 머릿속이 정리됐어. 이제 진짜 리포트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아!
언제든지. 공포정치 부분을 쓸 때 도움이 필요하면 말해줘. 그 부분은 꽤 강렬하거든.

Words & Expressions

  • fascinating : 흥미로운
  • struggle with : ~와 싸우다, 힘들어하다
  • cause : 원인
  • rise up : 봉기하다, 들고 일어나다
  • in serious debt : 심각한 빛을 지고 있는
  • the American Revolution : 미국 독립 전쟁
  • tax system : 세금 제도
  • peasant : 소작농
  • middle class : 중산층
  • nobility : 귀족층
  • clergy : 성직자
  • monarchy : 군주제, 왕정
  • indecisive : 우유부단한
  • Englightenment ideas : 계몽주의 사상
  • liberty : 자유
  • equality : 평등
  • popular sovereignty : 국민 주권
  • Rousseau and Voltaire : 루소와 볼테르 (계몽주의 철학자들)
  • trigger : 촉발하다
  • the Estates-General meeting : 삼부회 회의
  • the Third Estate : 제3신분 (평민 계급)
  • represent : 대표하다
  • common people : 일반 민중
  • break away : 탈퇴하다, 떨어져 나가다
  • declare : 선언하다
  • the National Assembly : 국민회의
  • lead to : ~로 이끌어지다
  • storming of the Bastille : 바스티유 감옥 습격
  • Bastille Day : 바스티유의 날
  • symbolize : 상징하다
  • escalate : 격화하다
  • abolish : 철폐하다
  • monarchy : 군주제
  • the Reign of Terror : 공포정치
  • help clear things up :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도와주다
I know it started in 1789, but I don’t fully get what made the people rise up.
  • what made the people rise up 은 동사 get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간접의문문이다. 사역동사 make 는 의 형태로 쓰이며 ‘목적어가 ~하게 하다’ 라는 의미이다. 동사 get 은 구어체에서 ‘이해하다’(=understand)의 뜻으로 자주 쓰인다.
 
         <예문>
         I didn't get the joke, but everyone else was laughing.
         나는 그 농담을 이해하지 못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다 웃고 있었어.
         Do you get what she's trying to say?
         그녀가 무슨 말을 하려는지 이해하겠어?
Plus, the tax system was unfair—peasants and the middle class paid most of the taxes, while the nobility and clergy paid very little.
  • 접속사 while 은 ‘~한 반면에’ 라는 뜻으로, 두 가지 사실을 대조하여 보여줄때 사용한다. 부사 little 은 ‘양이 거의 없는, 거의 ~하지 않다’의 의미로, 여기에서는 ‘귀족과 성직자들은 세금을 거의 내지 않았다’ 라는 의미로 해석한다.
Right, I remember reading about Rousseau and Voltaire in class.
  • 'remember+ -ing'는 ‘(과거에) 어떤 일을 한 것을 기억하다> 라는 의미이다.
The Third Estate, which represented common people, broke away and declared itself the National Assembly.
  • which represented common people 은 선행사 The Third Estate 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문장 전체의 주어는 The Third Estate, 동사는 broke away and declared 이다.
It changed how people thought about government and rights—not just in France but around the world.
  • 의문사 how 가 이끄는 절은 동사 changed 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며, ‘사람들이 정부와 권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라는 의미이다. not just in France but around the world 는 'not just A but B' 구문으로, ‘A 뿐만 아니라 B도’ 라는 의미이다.
Let me know if you need help with the Reign of Terror.
  • 'Let me know if 주어+동사' 는 ‘~하면 알려줘’라는 의미로, 상대방에게 편하게 연락하거나 의사표시를 하라고 권유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다.
          
         <예문>
         Let me know if you want to join the study group.
         스터디 그룹에 참여하고 싶으면 알려줘.
         Let me know if you have any questions after the lecture.
         강의 끝나고 질문 있으면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