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져요 전공영어

(심리학) Panic Disorder

심리학Panic Disorder

Key Points 
  • 공황장애는 예기치 않게 반복되는 강한 불안 발작과, 또다시 발작이 올 것에 대한 지속적인 두려움이 특징인 불안장애의 일종이다.
Key Words
  • Panic Disorder
  • Panic Attack
  • Anxiety Disorder
  • Anticipatory Anxiety
  • Agoraphobia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Hello, come in. I’m Dr. Park, one of the counselors here at the university’s Student Counseling Center. What brings you in today?
Well… I’m Jisoo Kim. I’m a second-year student, majoring in Sociology. I’ve been feeling really overwhelmed lately, and I’m not sure what’s happening to me.
I’m glad you came. You’re not alone, and this is a safe space. Can you tell me more about what you’ve been experiencing?
Sure… It usually happens out of nowhere. My heart starts racing, I can’t breathe properly, I get really dizzy, and I feel like I’m going to pass out—or like I’m losing control. It’s terrifying.
That sounds very distressing. Based on what you’ve described, it’s possible that you’re experiencing panic attacks. These are sudden episodes of intense fear or discomfort that peak within minutes.
Yes! That sounds exactly like it. But why is this happening to me?
There could be various factors—biological, psychological, or environmental. When panic attacks occur repeatedly and lead to persistent concern or behavioral changes, it may be diagnosed as Panic Disorder.
So it’s an actual disorder?
Yes. Panic Disorder is a type of anxiety disorder. It’s characterized by recurrent, unexpected panic attacks along with anticipatory anxiety—which means constant worry about when the next attack might happen. People often begin to avoid certain situations, which can lead to agoraphobia in some cases.
I’ve actually started avoiding crowded places and long bus rides… I’m scared I’ll have an attack and won’t be able to escape.
That’s a very common reaction. The fear of having a panic attack in public or in places where escape might be difficult can reinforce avoidance behavior. It’s part of a cognitive-behavioral cycle that we can work on in therapy.
Is there a way to treat it?
Definitely. Recovery is very possible, and we can create a treatment plan that fits your needs. Would you like to schedule a regular session so we can begin working on this together?
Yes, I’d really appreciate that. Thank you so much.
You’re welcome, Jisoo. You’ve taken an important first step today.
안녕하세요, 들어오세요. 편하게 앉으세요.저는 박 박사라고 하고, 우리 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에서 상담을 맡고 있어요. 무슨 일로 오셨나요?
음… 저는 김지수라고 해요. 사회학과 2학년 학생이에요. 요즘 너무 압도당하는 기분이 들어요. 무슨 일인지 잘 모르겠고요.
잘 오셨어요. 지수 씨는 혼자가 아니에요. 여기는 안전한 곳이에요. 어떤 증상이 있었는지 조금 더 말씀해 주시겠어요?
네… 보통은 예고 없이 갑자기 찾아와요. 심장이 미친 듯이 뛰고, 숨을 제대로 쉴 수가 없고, 어지럽고, 기절할 것 같거나 정신을 잃을 것 같은 기분이 들어요. 정말 무서워요.
정말 힘드셨겠어요. 말씀하신 걸 들어보면, 공황발작을 경험하고 계신 걸 수도 있어요. 공황발작은 갑작스럽게 밀려오는 강한 공포나 불안으로, 보통 몇 분 안에 최고조에 이르죠.
네! 딱 그거 같아요. 근데 왜 저한테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어요. 생물학적, 심리적, 환경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죠. 만약 이런 공황발작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그에 대해 계속 걱정하거나 행동에 변화가 생긴다면, 공황장애라고 진단되기도 해요.
그러면 진짜 병인 거예요?
네. 공황장애는 불안장애의 한 유형이에요. 반복적이고 예상치 못한 공황발작과 함께, 또 발작이 생기지 않을까 늘 걱정하는 예기불안이 특징이에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특정 상황을 피하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광장공포증으로 이어지기도 해요.
저도 요즘 사람들이 많은 곳이나 버스를 피하고 있어요… 발작이 나면 도망치지 못할까 봐 무서워요.
아주 흔한 반응이에요. 공공장소나 도망가기 어려운 상황에서 공황발작이 날까 봐 두려워하는 마음이 회피 행동으로 이어지는 거죠. 이건 인지행동 순환의 일환으로, 우리가 상담을 통해 다뤄볼 수 있어요.
이걸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물론이에요. 충분히 회복 가능합니다. 지수 씨에게 맞는 치료 계획을 만들 수 있어요. 정기적인 상담을 시작해서 함께 하나씩 다뤄볼까요?
네, 정말 감사해요. 그렇게 하고 싶어요.
잘 결정하셨어요, 지수 씨. 오늘 여기 오신 것 자체가 아주 중요한 첫걸음이에요.

Words & Expressions

  • counselling center : 상담센터
  • counselor : 상담사
  • overwhelmed : 압도당한, 감정적으로 벅찬
  • happen out of nowhere : 뜬금없이 발생하다
  • breathe : 숨쉬다
  • properly : 제대로
  • dizzy : 어지러운
  • pass out : 기절하다
  • distressing : 괴로운, 고통스러운
  • panic attack : 공황발작
  • episode : 발현 (주로 증상과 관련)
  • intense : 강렬한
  • discomfort : 불편감
  • peak : 절정에 달하다
  • biological : 생물학적인
  • psychological : 심리적인
  • environmental : 환경적인
  • persistent : 지속적인
  • concern : 염려, 걱정
  • panic disorder : 공황장애
  • anxiety disorder : 불안장애
  • recurrent : 반복적인
  • unexpected : 예기치 못한
  • anticipatory anxiety : 예기불안 ( 다음 발작에 대한 지속적인 걱정)
  • avoidance behavior : 회피 행동
  • agoraphobia : 광장공포증
  • escape : 벗어나다, 도망치다
  • reinforce : 강화하다
  • cognitive-behavior cycle : 인지-행동 순환
  • therepy : 심리치료
  • session : (상담) 회기
  • recovery : 회복
A friend suggested I come here.
  • 주어진 문장은 'suggest+that+주어+동사원형' 의 구문으로, 제안이나 권유를 나타내는 가정법 현재이다. 이때 that이 생략되어 있으며, that 절 안에서 동사원형을 쓰는 것에 유의한다.

             <예문>
             My professor suggested I start the assignment early.
             교수님께서 과제를 일찍 시작하라고 조언하셨어.
             They suggested we meet at the library tomorrow.
             그들은 내일 도서관에서 만나자고 제안했어요.
Can you tell me more about what you’ve been experiencing?
  • 'feel+형용사' 는 주어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feel like+주어+동사' 는 ‘~일 것 같다’ 라는 의미로 상황을 추측할 때 사용한다.
              
           <예문>
           Can you tell me where the student lounge is?
           학생 휴게실이 어디 있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Can you tell me how you prepared for the interview?
           면접을 어떻게 준비하셨는지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I’ve been feeling really overwhelmed lately. / I feel like I’m going to pass out.
  • 의문사 where 이하가 이끄는 절은 동사 hear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며 [의문사+주어+동사]의 어순에 유의한다.

         <예문>
         She feels anxious before every presentation.
         그녀는 발표 전에 항상 불안함을 느낀다.
         I feel like something bad is about to happen.
         뭔가 안 좋은 일이 곧 일어날 것 같은 기분이 들어.
It’s characterized by recurrent, unexpected panic attacks along with anticipatory anxiety—which means constant worry about when the next attack might happen.
  • It 이 가리키는 것은 앞 문장의 anxiety disorder 이며, 는 ‘~로 특징지어지다’ 라는 의미의 표현이다. when the next attack might happen 은 명사절로, 이때 when 은 ‘언제 ~할지’ 라는 의미이다. when이 이끄는 명절은 worry about 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The fear of having a panic attack in public or in places where escape might be difficult can reinforce avoidance behavior.
  • 문장 전체의 주어는 The fear 이고 동사는 can reinforce 이다. 전치사 of 가 이끄는 구에서 where escape might be difficult 은 선행사 places 를 수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