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져요 전공영어

(언어학) Speech At Theory

언어학Speech At Theory

Key Points
  • 어떤 문장을 발화하여 이루어지는 언어 행위를 화행이라고 한다.
Key Words
  • Speech Act
  • Speech Act Theory
  • J. L. Austine
  • Contrastives
  • Performatives
  • Felicity Condition
대화문은 AI 음성 파일로 구성되었습니다.
Phew, I'm so glad the exam is over, Hana!
Me too, Liz. Especially since it was our linguistics exam, your comment actually made me think of Austin's speech Act Theory.
Right, good point. According to Austin, we perform actions with our words. Your reminder fits perfectly here.
Exactly. Austin categorized these actions into constatives and performatives.
Yeah, constatives are statements that describe a situation and can be judged as true or false. For example, "The exam is over" is a constative because it describes the status of the exam and we can verity if it's true or false.
 
Performatives, on the other hand, are statements that perform and action just by being said. For example, when you say "I promise to study harder next time," you're not just stating a fact; you're making a promise.
 
So, going back to my statement about being glad the exam is over, it's a constative because I'm expressing a feeling. But if i said something like, "I vow to relax this weekend," that would be a performative because I'm making a vow, right?
 
Perfect! And if you said something like "I'm sorry for snapping at you earlier," that would be a performative because you're actually performing the act of apologizing.
 
Exactly. Austing also mentioned that for performatives to work, certain conditions need to be met. He called these "felicity conditions."
 
Yes, the context and the speaker's authority are crucial. For example, if I say "I declare this meeting open," it only works if I have the authority to do so.
 
This is really interesting. It shows how much power language has in our daily interactions.
 
Absolutely. And based on everything we've said, it looks like we might have aced the exam!
 
I hope so. But enough about Speech Act Theory. The exam is over, so let's go have some fun!

 

Agreed! No more talk about theories. It's time to relax and celebrate!
휴, 시험 끝나서 너무 기뻐, 하나야!
나도 그래, 리즈. 특히 이번이 언어학 시험이었으니까, 네 말 덕분에 오스틴의 화행 이론이 생각났어.
맞아, 좋은 지적이야. 오스틴에 따르면, 우리는 말로 행위를 수행하지. 네가 한 말이 여기 딱 들어 맞아.
정확해. 오스틴은 이런 행위들을 진술 발화와 수행 발화로 구분했어.
 
맞아, 진술 발화는 상황을 설명하고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할 수 있는 말들이야. 예를 들어, "시험이 끝났어"는 진술 발화인데, 이는 시험의 상태를 설명하고 참인지 거짓인지 확인할 수 있어.
 
반면에, 수행 발화는 말만으로 행동을 수행하는 거야. 예를 들어, "다음에는 더 열심히 공부할게"라고 말하면, 단순히 사실을 말하는 겡 아니라 약속을 하고 있는 거지.
 
그러니까, 내가 시험이 끝나서 기쁘다고 말한 것으로 돌아가면, 그 말은 내가 느끼는 감정을 표현하는 진술 발화인 거지. 하지만 만약 내가 "이번 주말에 쉬겠다고 약속해" 같은 말을 했다면, 그건 내가 약속을 하는 거니까 수행 발화가 되는 거지?
 
완벽해! 그리고 만약 "내가 좀 전에 짜증을 내서 미안해"라고 말하면, 그건 실제로 사과를 하는 수행 발화가 되는 거야.
 
맞아. 오스틴은 수행 발화가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특정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했어. 그는 이를 적절성 조건이라고 불렀지.
 
맞아, 맥락과 화자의 권위가 중요해. 예를 들어, 내가 "이 회의를 시작합니다"라고 말하면, 내가 그렇게 할 권한이 있어야만 그 말이 효과를 가지는 거야.
 
정말 재미있다. 언어가 일상적인 상호작용에서 얼마나 큰 힘을 갖고 있는지 보여주네.
 
절대적으로 동감이야. 그리고 지금까지 말한 걸 보면, 우리가 이번 시험에서 만점을 받았을지도 몰라!
 
그랬으면 좋겠어. 하지만 이제 화행 이론 얘기는 그만하자. 시험 끝났으니 재미있게 놀자!
 
동의해! 이제 이론 얘기는 그만하자. 이제 쉬면서 즐길 시간이야!

Words & Expressions

  • Linguistics : n. 언어학
  • Speech Act Theory : 화행이론
  • perform : v. 수행하다
  • reminder: n. 상기시켜 주는 것
  • categorize : v. 분류하다
  • constatives : 진술 발화
  • performatives : 수행 발화
  • statement : n. 진술
  • describe: v. 서술하다, 묘사하다
  • judge : v. 판단하다 
  • status : n. 상황
  • verify : v. 확인하다, 입증하다
  • state : v. 말하다, 진술하다 
  • snap at : ~에 잔소리를 하다
  • apologize : v. 사과하다
  • mention : v. 언급하다
  • condition : n. 조건
  • felicity conditions : 적절성 조건
  • context : n. 맥락
  • authority : n. 권위
  • crucial  : a. 중대한, 결정적인
  • declare : v. 선언하다
  • interaction : n. 상호작용
  • ace an exam : 시험을 아주 잘보다, 시험에서 최고 점수를 받다
Especially since it was our linguistics exam, your comment actually made me think of Austin's Speech Act Theory.
  • 접속사 since는 because와 같은 의미로, 이유를 나타낸다. made me think of~에서 동사 make는 사역동사이며 "make+목적어+원형부정사"의 형태로 쓰인다.
Yeah, constatives are statements that describe a situation and can be judged as true or false.
  • 관계절 that describe a situation은 선행사 statements를 수식한다. 등위접속사 and는 동사구 can be judged와 앞의 be동사 are를 연결한다.
For example, "The exam is over" is a constative because it describes the status of the exam and we can verify if it's true or false.
  • if it's true or false는 명사절이며 이때 접속사 if는 '~인지 아닌지'라는 의미이다. 명사절 if it's true or false는 동사 verify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But if I said something like, "I vow to relax this weekend," that would be a performative because I'm making a vow, right?
  • if I said something like, "I vow to relax this weekend," that would be a performative는 가정법 과거 구문이다. 화자가 "I vow to relax this weekend"와 같은 말을 실제로는 하지 않았지만 현재 상황의 반대를 가정하고 있다. 이때 if절에서 동사의 과거형을 사용하고, 주절에서는 조동사의 과거형을 사용하고 있다.
And if you said something like "I'm sorry for snapping at you earlier," that would be a performative because you're actually performing the act of apologizing.
  • if you said something like "i',m sorry for snapping at you earlier," that would be a performative는 화자가 하지 않은 말을 했다고 가정하고 있으므로 현재 상황의 반대를 가정하는 가정법 과거 구문이다. 가정법 과거는 "if+주어+동사의 과거형~, 주어+조동사의 과거형+동사원형~"의 형태로 쓰인다.
He called these "felicity conditions."
  • 동사 call은 목적어와 목적격보어를 갖는 동사이며, '~을 ...라고 부르다'라는 의미이다. 여기에서 these가 목적어, 명사felicity conditions가 목적격 보어이다.
For example, if I say "I declare this meeting open," it only works if I have the authority to do so.
  • if I say는 조건의 부사절 혹은 가정법 현재이며, 가정법 과거와는 달리 현실성이 높고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일을 가정한다.
It shows how much power language has in our daily interactions.
  • how much power language has~는 명사절로, 동사 shows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And based on everything we've said, it looks like we might have aced the exam!
  • might have aced는 "might have p.p" 구문으로 '~했을지도 모른다'라는 의미이다. "might have p.p" 역시 가정법으로, 과거의 일에 대한 확신이 적은 추측을 나타낸다.